//
Search
🔥

6쾌하게 6캔두잇!

팀 리더ㅤ
이준근
팀원ㅤ
김민정백경현백승지선은혜최수진한호수

  Notice

매일 아침 QR체크 시간, 회고 6 채널에서 파이팅 구호 외치기
댓글 창에 지금의 나를 일깨워 주는 명언을 남겨주세요
보물 창고는 각자 자유롭게 활용하시면 됩니다
아프지 말고 행복하기

  Introduce

회고조 목표: 함께 나아가기
회고조 소개: 늘 주어진 일에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야 모든 일을 극복할 수 있고 견디며 이겨낼 수 있습니다. 저희는 마주한 문제를 유쾌하게 받아들이며 할 수 있다고 외치는 ‘6쾌하게 6캔두잇’ 입니다

  보물창고

Search

  회고

회고 방법
1.
회고록 작성 : 양식을 참고하여 발표 시간 전까지 각자 회고록 작성
2.
발표 : 매주 마지막 수업 자습시간(17:30)에 발표 진행
3.
피드백 : 노션에 댓글로 작성

  주차별 회고록

1주차 (09.05)
2주차 (09.08)
3주차 (09.16)
4주차 (09.23)
메이커준님과의 회고시간(09.26)
5주차(09.30)
6주차(10.04)
7주차(10.14)
10월 스프린트 회고 (10.24)
페어프로그래밍(10.24)
8 & 9주차 (10.27)
10월 27일 페어전 회의
10주차(11.04)
11월 04일 페어 후 회고
11주차(11.09)
12주차 스프린트 회고(11.14)
12주차(11.17)
13주차(11.28)
14주차(12.05)
15주차 스프린트 회고(12.12)

2. 상상해봅시다. 팀 프로젝트를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만족스러울까요? 2~3가지를 적어주세요.

이름
팀 프로젝트가 만족스러운 경우에 대한 2~3가지 정도를 상상해보기
이준근
1. 나의 성장 혹은 기여를 이력서에 만족스럽게 적을 때 2. 내가 리드한 방향이 올바른 방향이었을 때 or 팀원들이 만족할
최수진
1.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2. 좋은 동료를 얻었다!
김민정
1. 완성! 우선 완성물이 있어야 한다 2.다음단계인 지원서에 사용할만한 프로젝트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기쁠것 같다. 3.멋사에서 알게된 소중한 사람들
한호수
1. 프로젝트 회고 시 팀원들 모두 만족스러운 경험이 되었다고 말했을 때 2. 내가 학습을 목표로 사용한 기술 스택이 누가 봐도 깔끔하게 적용하였을 때 3. 계획한 일정대로 진행되어 프로젝트 완성일을 지켰을 때
백경현
1. 계획한 기능들이 돌아가는 완성도 있는 결과물 → 스스로에 대한 성취감 2. 다같이 노력했던 시간을 통해 프로젝트에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 3. 그냥 끝냈다는게 만족스러울 것 같기도..ㅎ
선은혜
1. 초반 계획한 대로 결과물이 만들어졌고, 기존 기능에서 추가 기능 까지 완성 했을 때 ⇒ 그냥 주어진 API만 활용 하는 게 아니라 추가 API 기능을 통해서 내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 것 같아서 자신감 상승 & 이제는 코딩을 암기가 아니라 이해하면서 응용할 수있다는 깨달음 2. 갈등이 일어났어도, 해결 과정을 꼼꼼히 기록했을 때 ⇒ 미래 면접에서 팀프로젝트 하면서 어려웠던 점 질문 받을 때 수월할 것 같음 ⇒ 다시 비슷한 갈등이 발생해도 기록물을 보며 갈등해결이 수월해질것 같음
백승지
1. 완성된 프로젝트 (혼자하면 완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고 이 과정에서 협업을 통한 일처리 방식도 얻어 갈 수 있다) 2.리액트와 친해지기 (아직 리액트로 구현을 거의 못하는데 프로젝트를 통해 부딪혀보면서 해볼수 있지 않을까..!)

키워드

자신감, 이력서, 결과물, 기술 스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