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의사결정 시간이 반응 시간에 큰 영향을 받을 때는 선택지의 개수를 최소화하라.
•
인지 부하를 줄이려면 복잡한 작업을 잘게 나눠라.
•
추천 선택지를 강조해서 사용자의 부담을 줄여라.
•
신규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려면 **온보딩 (onboarding)**을 점진적으로 진행하라.
•
추상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단순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개요
•
복잡성
디자이너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자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정보를 종합하고 정리해서 보여줘야 한다.
> 중복과 과잉은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와야 한다.
> 사용자의 목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방해하는 요소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아야 한다.
디자이너는 효율적이고 간결한 방식으로 **복잡성**을 단순화하는 데 정진해야 한다.
- 인터페이스에 선택지가 너무 많으면 효율적이지도 간결하지도 않다.
(Call to Action의 부재, 불분명한 정보 아키텍쳐, 불필요한 단계, 과도한 선택지나 정보)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 = 선택지의 개수 * 복잡성
Plain Text
복사
기원
•
1952년, 자극의 개수와 자극에 대한 반응 사이의 상관 관계
◦
graph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하는 시간과 인터랙션할 선택지 개수의 직접적 상관관계)
◦
심리학 개념
**인지 부하(cognitive load):** 인터페이스를 익히고 인터랙션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자원의 양
****ex)
- 내비게이션 사용 방식을 익히거나
- 페이지 레이아웃을 이해하며 UI 요소와 인터랙션하고 폼에 정보를 입력하는 등
Plain Text
복사
사례
•
리모컨 이야기
•
구글 검색
•
슬랙
◦
온보딩 - 신입사원이 새로운 회사에 입사하여 적응하는 것을 돕는 과정, 신규 사용자가 처음 접하는 시스템에 적응하도록 돕는 과정을 가리티는 말
◦
슬랙봇
디자인 기법 카드 분류
**Card Sorting**
선택지 개수는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을 좌우한다.
정보 아키텍쳐에 관하여 사용자가 어떤 기대를 하는지 알아내는 유용한 방법
사용자의 멘탈 모델에 맞춰 정리해야 할 때 요긴하게 쓰이는 조사 방법
**진행 절차**
1. 주제를 정하라
2. 주제를 정리하라
3. 카테고리에 이름을 붙여라.
4. 참가자의 보고를 들어라.
Plain Text
복사
심화 학습 지나친 단순화
**단순화가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점이 언제인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추상화라고 할 정도로 단순화해버리면 어떤 조치를 해야할지, 다음 단계는 무엇인지, 특정 정보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 불분명해지기도 한다.)
ex) 아이콘
- 보편적인 아이콘이 드물다. (다르게 이해하는 경우가 많음)
> 아이콘에 텍스틀 레이블만 추가하더라도 의미가 더 명확해지고 사용자들이 더 수월하게 아이콘을 발견하고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 (사용성을 높이는 추가 정보가 더해져 추상성은 효과적으로 감소)
Plain Text
복사
정리
1.
인터페이스나 프로세스를 단순하게 만들면 어떤 선택지가 있는지, 디자이너의 목표와 관련 있는 정보인지 사용자가 쉽게 알아보도록 맥락에 관한 단서를 제공해야 한다.
2.
불필요한 부분을 덜어내는 과정, 사용자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요소를 제거하는 과정은 디자인 프로세스에 꼭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