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1주차

비고
- 메이커준님 피드백
Search
1주차 개인별 회고

개인별 목표 정하기

키워드 : 배움 이해 구현
매일 자습시간에 게더에서 만나서 배운 점 나누기
같이 과제 하기
매주 돌아가면서 팀원 대상으로 그 주에 배운 내용 특강해보기
디스코드나 게더타운에 최소 한마디씩 나누기
번아웃 선언하면 힘낼 수 있게 칭찬 한마디씩 해주기!!
힐링방 애용하기
웃짤이나 귀여운거 올리기
수요일 30분 잡담시간
코드 피드백
과제 코드 리뷰 나눌 수 있는 팀 레포지토리 활성화
과제를 PR로 날려서 코드 리뷰가 끝나면 팀 레포에 마지

메이커준님 피드백

메이커준님이 생각하시는 가장 효과적인 피드백 과 회고는 어떻게 진행되는것 일까요??
메이커준님이 여러 교육을 진행 하시면서 인상깊었던 or 기억에 남는 피드백 과 회고 방법이 있을까요??
아직 기술적으로 부족함이 많아서 각자의 과제를 보고 수긍만 할 뿐 피드백을 해줄수 없는 상황일때는 어떤방법으로 진행하는것이 좋을까요?
5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지치지 않고 팀원들과 함께 부트캠프를 완주하기위해 추천해주시고 싶은 팁!!
1주차를 진행한 교육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한마디

1. 메이커준님이 생각하시는 가장 효과적인 피드백 과 회고는 어떻게 진행되는것 일까요?? & 메이커준님이 여러 교육을 진행 하시면서 인상깊었던 or 기억에 남는 피드백 과 회고 방법이 있을까요??

특정 회고 방법이 가장 좋았다! 이런건 없었어요. 상황에 따라, 사람에 따라 좋은 회고 방식은 다르거든요. 제일 좋은 회고 방법은 우리팀만의 회고 문화를 만드는거에요. 그래서 회고에 대한 회고를 해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일단 팀에서 정한 방법으로 진행해보고, 회고가 끝난 뒤 오늘 회고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 나눠보는거죠. 오늘 회고를 통해서 우리가 얻은 통찰이 있었나? 만족스러웠나?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고 별로인것 같다면 어떤점 때문에 그렇게 느꼈는지, 다음에 좀 더 개선된 방법으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함께 고민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2. 아직 기술적으로 부족함이 많아서 각자의 과제를 보고 수긍만 할 뿐 피드백을 해줄수 없는 상황일때는 어떤방법으로 진행하는것이 좋을까요?

피드백을 잘 줘야지!라고 생각하면 굉장히 막연하고 무엇을 피드백 줘야할지 어려울것 같아요. 이럴때는 피드백을 주는 것보다 요청하는 연습을 더 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그냥 피드백 주세요! 이러면 피드백 주는 사람도 어떤 부분을 중점으로 줘야할지 어렵거든요. 피드백 요청을 구체적으로 하게 되면, 피드백 주는 사람도 명확하게 어떤 부분에 도움을 줘야할지 이야기하기가 더 수월해질 수 있어요. 내가 이번에 개발을 하면서 마크업에 신경썼다하면 잘못된 마크업은 없는지, 줄일 수 있는 마크업은 없는지를 서로 봐주는 거죠. 분명 누군가는 1개라도 더 알고 있는 경우가 있어서 의미있는 대화가 오갈 수 있어요. 피드백 요청을 좁히면 멘토님의 도움을 받기도 더 수월해질거에요. 포커스를 맞춘 피드백 요청으로 더 쉽게 피드백을 받아보기를 바래요

3. 5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지치지 않고 팀원들과 함께 부트캠프를 완주하기위해 추천해주시고 싶은 팁!!

자주 회고 하기, 지금 우리 잘하고 있나? 통찰이 있나?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4. 1주차를 진행한 교육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한마디

작은 성공을 많이 맛보시길 바래요! 처음부터 큰 소프트웨어를 만들수는 없어요. 큰 문제를 작게 쪼개서 빠르게 정복해보는 경험을 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