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클라이언트로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때
chmod 400 [키 이름.pem] —> 권한 변경을 위해 사용
ssh -i "[키 이름.pem]" ubuntu@ec2-43-200-70-107.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ubuntu@ec2-43-200-70-107.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
sudo su -
—> 관리자모드로 변경하는 것(설치, 수정 등이 가능해짐)
mkdir git —> make directory git
cd git —> git 폴더로 들어가기
git clone url —> url에 있는 것들 복사하기https://github.com/Kyeongrok/docker_minikube_kubectl_install
ls —> 폴더위치 가로로 확인
ll —> 폴더위치 세로로 확인
도커
docker run [OPTIONS] [IMAGE:TAG]
도커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un 명령어를 통해 Image를 컨테이너로 실행시키게 됩니다. 이 때, run시킨 이미지가 로컬 registry에 없을 경우, 자동으로 docker hub를 통해 image를 pull 받아 온 뒤 실행시킵니다.
-p : port의 줄임말 —> Host와 컨테이너의 포트포워딩 옵션입니다.
-d : daemon의 줄임말 —> detached mode로 백그라운드 모드를 의미합니다.
-e : 컨테이너 내 환경변수를 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doker run nginx
—> 도커로 nginx를 실행한다.(단. 처음에 이렇게 사용할 경우 포트가 연결되지 않아 오류가 뜰 수 있다. why? 컨테이너 구동할 때 호스트의 특정 포트를 연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docker run -p 80:80 nginx
—> ”도커로 nginx 이미지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실행하되, 호스트의 80포트를 컨테이너의 80포트로 붙여라”
docker run -p 80:80 -d nignx
—> 위 설명 + daemon 실행
daemon의 역할
API 요청을 수신하고, 이미지 ,컨테이너, 네트워크와 같은 Docker Object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몬은 Docker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다른 데몬과 통신 할 수도 있습니다.
docker ps
—> 가동중인 컨테이너의 리스트를 확인
docker ps -a
—> 현재 중지되어있는 컨테이너까지 확인가능
docker stop [컨테이너의 id 혹은 name] conainer
—> 중지
docker rm [컨테이너의 id 혹은 name] container
—> 삭제
docker run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1234 -d mysql
—> MYSQL ROOT PASSWORD를 1234로 설정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