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06/23 수업 정리

윈도우 : 가상메모리 리눅스 : 스왑
Plain Text
복사
가상 메모리 기법은 디스크를 메모리로 사용하는 디스크 페이징(스왑)과는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다. 여기서 가상(Virtual) 의 의미는 디스크를 가상의 RAM 처럼 쓴다는 의미가 아니라, 각 프로세스마다 실제 물리 메모리가 아닌 가상의 주소 공간을 보이게 한다는 의미이다. 사실 넓게 보면 메모리의 내용을 디스크에 임시로 저장하는 개념 자체는 별로 특이한 것도 아니고 이론적으로는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서도 구현할 수 있다.[7] 이렇게 용어가 혼동되어 쓰이는 이유는 Windows 에서 이러한 디스크 스왑 설정을 "가상 메모리" 라고 번역 해놓았기 때문이다.
Plain Text
복사
가상메모리와 윈도우 가상메모리는 다른 말이다.
지역변수는 스택에 저장된다.
OS와 프로그램 구현 최적화, 프로그래밍 언어
함수를 스택으로 쌓는 이유 -하드디스크는 공간이 충분하다. - 램은 공간이 늘 부족하다. - 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향
Plain Text
복사
메모리는 늘 부족하다. 모든 최적화, 모든 기교 메모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발전
Plain Text
복사
스택 => 지역변수들의 세계 힙 => 객체들의 세계
Plain Text
복사
int main(void) { int c; char a; char b; return 0; }
C
복사
6바이트 지만 8바이트 될 수 있다. => 2바이트의 빈공간 6바이트 이상으로 나올 것이다 => 논리적으로 이해할때는 6바이트라고 생각해도 된다.
char 1 : 128 short 2 : 3만 2천 int 4 : 21억 long 8 : 아득히 큰 long long 16 : 더 큰 숫자
Plain Text
복사
자바 클래스 => 설계도
클래스(설계도) : 원본폴더 객체(제품) : 복사본 폴더
자바세상에서는 폴더 안의 구성요소를 추가/삭제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