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ArrayList<>() 의 소괄호 안에 어떠한 값들이 들어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
클래스에서 ArrayList 선언 후에 생성자에서 또 한번 선언하면 어떻게 코드가 작동하는지 궁금합니다.
화면캡쳐
위 질문에 해당하는 질문의 링크나 스크린샷을 여기에 추가해 멘토분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세요.
public class Factory {
// 자동차 최대 대수
private final int CAR_MAX_COUNT = 100;
// 입력한 자동차 대수
private int carCount = 0;
// 스캐너
private Scanner scanner;
// 자동차들을 담을 배열
private Car [] carList;
public Factory() {
this.scanner = new Scanner(System.in);
carList = new Car[CAR_MAX_COUNT];
}
}
public class Factory {
// 자동차 최대 대수
private final int CAR_MAX_COUNT = 100;
// 입력한 자동차 대수
private int carCount = 0;
// 스캐너
private Scanner scanner;
// 자동차들을 담을 배열
//private Car [] carList;
private ArrayList<Car> carList;
public Factory() {
this.scanner = new Scanner(System.in);
//carList = new Car[CAR_MAX_COUNT];
carList = new ArrayList<>();
}
}
Java
복사
프로젝트 주소
위 질문에 해당하는 질문의 링크나 스크린샷을 여기에 추가해 멘토분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세요.
멘토 답변
두 분이 어제 멘토링의 내용을 복습하고, 관련 내용 중심으로 추가 질문을 주었습니다.
어제 멘토링에서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에 대해 보충설명하였고,
두 분이서 같이 멘토링 내용을 새로 복습할 때 다시 헷갈리면 토론 후 다시 질문주시는 방식으로 멘토링 진행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
타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
기초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
직접 만든 클래스도 타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
ArrayList, Car 등등 클래스로 되어있는 것은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
참조 자료형은 클래스로 되어있기 때문에 생성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
ArrayList를 만들 때 ()는 생성자라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
배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메모리 공간을 그림을 그려가며 배열의 개념을 설명하였습니다.
•
배열은 공간을 미리 할당해두고 배열의 타입에 맞는 객체들을 대입해야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