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6월 2일 금요일

태그
정규회의
텍스트

오늘 회의 내용

github, 이메일 공유
전체 타임 라인/일정 정하기
언제 만날지 정하기 → 6/10일
역할 분담(리더 정하기) → 문서화 리더 이 예 지 두둥
정규 회의 날짜 정하기 → 매일 & 월,목 오전
사용 기술 정하기 → 자스 (기간 걱정, 컨벤션? 더 타이트하게) / tailwind 쓸지말지 좀 더 고민
css 프레임워크 조사하기 → SASS, CSS 로 따아ㄸㅇ
서비스 주제 정하기
색깔 → 주제
테마 - 라이트/다크모드/저시력자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 정하기 → 월요일
공통
페이지별? 기능별?
6/7까지 디자인 기획 마무리
6/7부터 마크업 시작 (공통 마크업에 라이브쉐어 써볼까)

1. 프로젝트 진행

전체 일정
~ 6/7 : 디자인 및 기획 끝내기
6/7 ~ 6/26 : 개발 및 기능 구현
6/7 ~ 6/14 : 마크업
6/15 ~ 6/26 : JS 완성
초반에는 공통적인 마크업 부분을 Live Share을 사용해서 마크업에 대한 규칙을 정하는 것은 어떤지에 대한 의견 → 추후 프로젝트를 합칠 때 서로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
6/27 ~ 6/28 : 발표 준비 기간
6/29 ~ 6/30 : 발표
개발 언어
JavaScript로 프로젝트 진행
CSS 프레임워크 : Sass, CSS를 사용
역할 분담
HTML/CSS는 페이지 별로 나누어서 작업하기
로그인 / 회원 가입 파트는 2, 2 혹은 4명 같이 작업하기
사용자 프로필 2명 / 게시물 1명 / 채팅 페이지 + 공통 컴포먼트 (홈버튼 라인) 1명
기능적인 부분은 처음 API 연결 부분, 공통적인 부분은 같이 하고 각 파트 별로 나누어서 작업하기 ( 공통된 기능은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 멘토님 조언 - 최소 기능 부분부터 파트를 나누어서 기능 구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 추천 - 중간 점검 때까지 기능 50~60%는 완성이 되어 있어야 한다. - 반응형은 선택적이니 시간이 빠듯하다고 생각하면 모바일 형식으로 진행 가능 - 최소 단위를 확실히 하기, 어떤 것을 추가할 것인지 확실하게 정하기
서비스 주제
컨셉은 그대로 진행하고 아이콘, 색상을 변경하는 방향으로 진행
⇒ 주제, 색상 조합에 대해 더 고민해보고 6/7 전까지 확정짓기
테마에 대한 의견
다크 모드로 설정하는 것보다 명도 대비를 확실히 하는 방향은 어떤가? 의견 제안
카카오에서 시각이 불편하신 분을 위한 토글 → 명도 대비 확실한 색상 설정이 가능
제시된 테마 소재 - 라이트 / 다크 모드 / 저시력자

다음 회의 내용

서비스 주제
파트 분배

다음 회의까지 생각해 볼 내용

기능이랑 api 명세서 숙지해오기
폴더 구조 생각해보기
역할 분담
깃 실습 + PR 컨밴션, 코드 리뷰 규칙
웹접근성 어디까지 커버할지 뭐어떻게 하는건지
플로우차트
박재영 : 다른팀 반응형 어떻게 할 계획인지 알아오기
issue
웹접근성
수요일 자습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