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터미널 명령어

Git 브랜치 배우기

명령어

code . : 현 위치에서 vs 코드 켜줌
ls : List 줄임말 폴더안의 파일 모두나열해줌
cd 폴더/파일명 : change drive 폴더나 파일로 이동하는 키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mkdir : 폴더만들기
git init : 폴더 초기화
ls -al: 폴더에 파일리스트
git init : 리모트에 있는 레포를 로컬에 옮길 때
git clone : git init + git remote add
git switch -c 브랜치명 : create 브랜치 & switch 위치를 바꾼다
git checkout -b 브랜치명 : 브랜치를 만들고 위치도 이동시킴
git switch -c feature/login : feature/login는 회사마다 다르게씀
git switch : 브랜치의 위치를 바꾼다
git branch -v : 브랜치 목록 / vscode 왼쪽 아래에서도 확인 가능함 현재 브랜치에 *표가 되어있음
git branch -m 바꾸기 전 이름 바꾼후이름 : 브랜치 이름 바꾸기 message
git branch -D 삭제할 브랜치 이름
git add . : stage 영역에 모든 파일을 넣겠다 / 계속 넣었다 뺏다 할 수있음
git add 파일명 : 특정파일만 추가 가능
git status : stage에 어떤 파일들이 올라가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git commit -m “커밋내용” : 고른 파일 확정시켜서 저장시키는 것 / 취소가 가능하지만 취소 기록남음
git log : 커밋한 내용 전부 확인가능
git log --pretty=oneline: 전체 커밋 내용(한줄 요약해서)
git log —graph : 커밋내용 그래프로 보여주기
git log —graph —pretty=oneline
git commit —amend : 마지막 커밋 수정하기 (팀작업 할때는 그냥 위에 한번 더 커밋 쌓는 것을 추천)
git pull origin develop: 리모트에 있는 것을 로컬에 있는것을 같게함 이거안하면 충돌날 수 있음
git push : 로컬에 있는 것을 리모트에 보낼때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 origin, 레포이름을 origin이라고 표현을함
git reset : commit 취소하고싶을 때
git diff : 파일에서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나타내줌 => 실전에서는 이거보다 GUI 프로그램을 많이씀
.gitignore파일 : 버전관리를 하지않는 파일
git restore : 마지막 커밋을 기준으로 복구
git restore —staged : 스테이지 올린 것 빼기
git stash : 작업한거 임시 보관
git stash pop : 임시 보관하던거 꺼내오기
git reset —soft commit-id(fork에 보면 나오는 번호) : 변경사항은 로컬에 stage 상태로 유지하 고 커밋은 리셋
git reset —mixed : 변경사항은 로컬에 unstaged 상태로 유 지하고 커밋은 리셋
git reset —hard : 변경사항 다 버리고 지정한 커밋으로 리셋

GitHub에서 Git으로 파일 보내기 협업방법

git clone : clone하려면 주소가 필요함 (HTTPS주소) * 이걸 주로씀
git fork : 다른 사람 파일 내 레파지토리에 그대로 퍼와서 작업

branch

branch : 문서의 계층을 나눈 것. 일반적으로 3단계로 나눔.
main branch(대빵) : 레포지토리 만들면 자동으로 만들어짐
develop branch(중간관리자)
feature/내가하는일 branch(기능브랜치) ex)feature/login, feature/footer
* 브랜치를 여러개 만들 때 주의하기 develop 밑에 여러개를 만들어야되서 항상 develop로 이동하고 하기
swtich로 이동하기 !!!

pr /merge 하는 방법

pr(pull requests), merge(합친다) : 내 코드가 완성이되면 중간단계로 보내는 것을 pr이나 merge라고함
1.
Pull requests에서 확인하거나 레포지토리에 위에 노란 메세지가뜸
2.
Pr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보낸다고 생각하면 됨! 왼쪽은 내가 작업한 브랜치 오른쪽은 보내야할 브랜치 develop!!
3.
Create pull request
4.
Merge pull request
5.
Comfirm merge 머지 버튼 쭉쭉 눌러주면됨 코드 문제없으면 계속누르면됨
git merge 현재브런치; main (현재 브랜치의 위치에서 메인으로 합치기)

React

npx create-react-app my-app : 프로젝트를 담을 디렉토리 생성, npx을 사용하려면 node.js를 설치해야함
npc run build : 배포
npc serve -s build : build에 있는 index.js 파일을 배포해준다
control + c : npm start 나가기
npx create-react-app 생성할폴더명 --template basic-react : 폴더와 프로젝트 생성 쓸데없는 파일 빼고
npm install react-router-dom : react-router-dom 설치
npm install styled-components@5 : 스타일 컴포넌트 설치 명령어
(sudo) npm install -g json-server : json-server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
json-server --watch (db.json)
npx json-server --watch ~ : 위에꺼 안될때
npm install rec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