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8주차 질문

진행 일자
2023/11/11 16:00
피드백 여부
피드백 완

대전 강의

1.
열정은 공포감이 아닌 재미와 즐거움으로 태워야 한다
우리가 하고 있는것에 이걸 왜하고 있지?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은 어떤 것이 있지?
공포라는것은 의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가?
⇒ 목표를 정확히 알고 인지하고 있으면 됨 내가 하고 있는게 얼마나 도움이 되는 방법인지, 다른 사람의 방법을 보고 내가 하는 방법이 맞는 건지 알면 의도적으로 조절이 가능?
공포라는 것은 장기적인 목표에서 오는것이므로, 야망이 아닌, 오늘의 목표 → 이번 주의 목표 → 이번 달의 목표로 잡아라!
팀의 목표와 내 목표 사이의 조절
팀의 목표 안에서 나의 목표를 잡기
나의 목표와 팀의 목표가 같아지도록 설득
결과 : 내가 현재 즐길수 있는 목표를 세우자.
이유 : 남들이 다한다는 이유로 목표를 세우면 경쟁심리때문에 공포는 다가올수밖에 없다.
2.
Why, How, What
Why
왜 그것이 필요한 지?
why 마인드셋이 지속적인 개발자로 거듭나게 해줌
따지지 않아 보이려 노력 상대방에 대한 예의는 지켜줘야한다.
ex) why의 사람 왜 먹고싶은지?-> What = 무엇을 먹고싶어?(한식,중식,양식) 및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 최종목표
What
무엇을 해야하는지 ?
How
how가 먼저 나오면 달성이 안 될 가능성이 있다?
목표를 잃어버림
위험 가능성이 있어 쳐낼 수 있어야함
why가 해결되면 how는 저절로 나옴 → 목표가 해결됨
이유를 찾다보면 어떻게해야될지 답이 보인다.
3.
커리큘럼 중 프로젝트 기간과 내가 생각한 기간이 상이할 때 어떻게 나아가야되는지?
보통 계획을 세울 땐 도달 가능한 목표를 잡음
계획을 세우는 이유는 목표점에 도달을 하기 위함
A와 B 코스 두개 있을때 택 1
if B코스가 믿음이 안간다면? else A코스에 대한 요소가 B코스에 있는지 확인
B코스가 타당한지 지속적으로 확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얻고자함에 대한 분류를 했을때 얼마나 해당코스가 목표에 부합되는지에 따라 선택
분류 1. 협업하는 경험을 얻는 것 ⇒ 앱이 버려지는든 안버려지든 상관은 없다 협업 경험만 가져가면 됨
한달짜리 프로젝트에서 어떤 것들을 얻고 싶은지
분류 2. 최종결과
분류 3. 자기PR ,자기소개서
분류를 나누는법
본인에게 우선순위가 되는 것들만 가져가기
모르겠으면 나중으로 미루고 자율적인 공부를 하기
왜 하고, 하면 뭐가 좋고, 어떤 것들을 할 수 있는지 나열하기
결론 : 상황이 주어졌을 때 내가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최대한 나열하고 뽑아먹어야 함
4.
최종결론 : 개발자가 되기 전에 본인의 기준을 잡기
개발자를 왜 하고 싶은지 생각하기 !
결정이 흔들리지 않기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ex) 리이오: 재미, 김지훈: 가정, 이현호: 흥미, 김민재: 관심, 황민채: 행복, 신희선: 흥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