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눌 이야기
학습 전략 개선 방법: 공부할 게 너무 많다. 이럴 때 어떻게 학습 전략을 짜는 게 좋을까?
의미 있었던 지점, 경험, 기억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때 학습 전략 개선 방법과 관련된 기억을 적어주면 더 좋을것 같아요
이름 |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학습 전략, 아쉬웠던 전략 등 관련한 경험 |
김건형 | 1. 다른 동료들에게 내가 알고 있는 async, await, try, throws 등에 대한 개념 및 데이터 흐름에 대해 설명했다.
2. 2번쨰 프로토타입은 공결로 인해 참여하지 못했지만, 3번째 프로토타입에서는 주도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
김수현 | 1.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프로타이핑 진행함 (쉽지는 않았지만 나름 좋은 경험이었음)
2. json 파일을 웹으로부터 불러와 Chart, 웹뷰, 맵뷰 등 다양하게 만들어 봄
3. 처음보는 async/await 개념이 어려웠음 |
박희경 | 1. async / await 라는 비동기 처리 방식에 대해 배우고 실제 openAPI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와 화면에 보여주는 앱을 만들었다.
2. 운동을 하면서 체력이 평소보다 향상됨을 느꼈다.
3. |
박민주 | 1. 두 번째 프로토타입
2. 매일 새로운 조와 실습 진행
3. API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비동기 작업) |
이지연 | 1. 처음보는 사람들과 프로토타입 만들어보기
2. 공부 계획을 번개 느낌으로 세웠는데,,오늘부터 일주일 단위로 계획 세우기를 도전,,계획을 어떻게 해야지 효율적으로 세우는 방법을 모르겠다.
3. 체력 관리의 중요성을 느꼈다. |
윤소희 | 1.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면서 그동안 배웠던 내용들을 내가 직접 적용해보고 응용해 볼 수 있었다.
2. 웹에 뿌려져있는 json정보를 통신을 통해 뷰에 뿌려보고 이를 이용해서 어싱크이미지, 맵뷰, 페이지네이션 등등을 연습할 수 있었다.
3. 스위프트 유아이 튜토리얼을 따라해보면서 그동안 배웠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복습할 수 있어 의미있었다. |
한승수 | 1. 금요일에 진행했던 듀토리얼로 한번 총정리할 수 있었다.
2. 이때까지 배웠던 것들 중에서 부족한 것들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
2. 나의 ‘교육 경험’ 되돌아보기
이름 | 학습 경험 되돌아보고 키워드를 뽑아보기 |
김건형 | |
김수현 | |
박희경 | |
박민주 | |
이지연 | |
윤소희 | |
한승수 |
이름 | 대화의 창 |
김건형 | |
김수현 | |
박희경 | |
박민주 | |
이지연 | |
윤소희 | |
한승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