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4️⃣

스프린트 회고 2022.11.28

 오늘 나눌 이야기

학습 전략 개선 방법: 공부할 게 너무 많다. 이럴 때 어떻게 학습 전략을 짜는 게 좋을까?
의미 있었던 지점, 경험, 기억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때 학습 전략 개선 방법과 관련된 기억을 적어주면 더 좋을것 같아요
이름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학습 전략, 아쉬웠던 전략 등 관련한 경험
김건형
1. 다른 동료들에게 내가 알고 있는 async, await, try, throws 등에 대한 개념 및 데이터 흐름에 대해 설명했다. 2. 2번쨰 프로토타입은 공결로 인해 참여하지 못했지만, 3번째 프로토타입에서는 주도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김수현
1.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프로타이핑 진행함 (쉽지는 않았지만 나름 좋은 경험이었음) 2. json 파일을 웹으로부터 불러와 Chart, 웹뷰, 맵뷰 등 다양하게 만들어 봄 3. 처음보는 async/await 개념이 어려웠음
박희경
1. async / await 라는 비동기 처리 방식에 대해 배우고 실제 openAPI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와 화면에 보여주는 앱을 만들었다. 2. 운동을 하면서 체력이 평소보다 향상됨을 느꼈다. 3.
박민주
1. 두 번째 프로토타입 2. 매일 새로운 조와 실습 진행 3. API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비동기 작업)
이지연
1. 처음보는 사람들과 프로토타입 만들어보기 2. 공부 계획을 번개 느낌으로 세웠는데,,오늘부터 일주일 단위로 계획 세우기를 도전,,계획을 어떻게 해야지 효율적으로 세우는 방법을 모르겠다. 3. 체력 관리의 중요성을 느꼈다.
윤소희
1.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면서 그동안 배웠던 내용들을 내가 직접 적용해보고 응용해 볼 수 있었다. 2. 웹에 뿌려져있는 json정보를 통신을 통해 뷰에 뿌려보고 이를 이용해서 어싱크이미지, 맵뷰, 페이지네이션 등등을 연습할 수 있었다. 3. 스위프트 유아이 튜토리얼을 따라해보면서 그동안 배웠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복습할 수 있어 의미있었다.
한승수
1. 금요일에 진행했던 듀토리얼로 한번 총정리할 수 있었다. 2. 이때까지 배웠던 것들 중에서 부족한 것들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2. 나의 ‘교육 경험’ 되돌아보기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기억에 남고 의미있었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3개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나에게 별로 도움이 안됐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3개
 2개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3개
이름
학습 경험 되돌아보고 키워드를 뽑아보기
김건형
 : 이론을 거치지 않고 실습으로 돌입하기, 미니 세미나, 다른 사람들의 성장도 같이 생각할때  : 이론부터 차근차근 배우기, 억지로 학습하기, 의욕이 앞설때  : 몰입, 재미, 성장의 주체를 어디에 두는가
김수현
 : 내 필요에 의해서 시작한 공부, 실습 위주의 학습, 깊이 생각하지 않고 주어진 일부터 하나씩 시작  : 암기식, 이론에 치우친 공부 방법, 지키지 못할 계획 세우기  : 주도적
박희경
 : “그냥 ”이 아니라 “왜” 그런지 생각 많이 하기  : 강의만 듣기가 아니라 강의를 보고 난 후 내 손으로 직접 실습하고 복습하기  :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시키려는 태도
박민주
 : 복습, 원리와 흐름을 파악하고 응용해서 확장, 팀 활동을 통한 학습 내용 공유 및 토의  : 읽기만 하고 기록하지 않는 학습, 억지로 머리에 때려넣는 학습, 복습 없는 학습  : 복습, 이해, 기록
이지연
 : ‘왜 그렇게되는가?’ 에 대해서 알기  : 이해 못한 상태에서 무작정 학습 하기  : 이해
윤소희
 : 발표나 설명을 위한 학습, 응용을 통해 무언갈 만들어보기, 스스로 탐구하는 학습  : 단순히 눈에서 끝나는 학습, 냅다 구글링 한 코드 긁어오기, ‘다음에 혼자 다시 보지 뭐’ 마인드  : 자기주도적, 이해, 태도
한승수
 : 끝까지 물고늘어지다 결국 깨달았던 경험  : 일단 넘어가고 다음에 다시 학습하기  : 지속, 즉시,
이름
대화의 창
김건형
김수현
박희경
박민주
이지연
윤소희
한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