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3️⃣

연습문제 9~12

9. 네트워크 저장장치 중 저장장치를 네트워크 상에 두고 여러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함으로써 공유 데이터의 관리 및 데이터의 중복 회피가 가능한 기법은 무엇인가?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가 이더넷 등의 LAN 혹은 WAN 방식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방식이다.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저장 및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내부 혹은 외부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다.
일부 무선 공유기에는 USB 단자가 있어 하드 디스크를 연결하면 NAS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고 한다.
장점
DAS와 달리 Port 수에 제한없어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남
경제적이며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함
단점
접속 증가시 성능 저하
파일 전송 속도는 DAS보다 느림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곳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음
SAN(Storage Area Network)
NAS 보다 진보된 형태로 서버와 저장 장치를 이더넷 연결이 아닌 광채널(Fiber Channel) Switch로 연결한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
장점
대용량의 데이터를 연결된 서버에 상관없이 원거리에 분산된 저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단점
초기 구축비용이 많이 들고 구성이 복잡하다.

10. 현재 헤드가 있는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트랙부터 서비스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무엇인가?

SSTF(Shortest Seek Time First) 디스크 스케줄링
현재 헤드가 53 트랙에 있는 경우 헤드 위치와 가까운 요청 먼저 처리한다.
효율성은 좋지만 헤드가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가장 안쪽이나 바깥쪽에 있는 트랙은 서비스를 받을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SSTF 디스크 스케줄링은 잘 사용되지 않는다.

11. 서비스를 요청한 트랙을 일정 단위로 묶어 SSTF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무엇인가?

블록 SSTF 디스크 스케줄링
SSTF 방식을 블록 단위로 적용시킨 방식

12. 헤드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맨 마지막 트랙에 도착할 때까지 뒤돌아가지 않고 계속 앞으로 전진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무엇인가?

SCAN 디스크 스케줄링
바깥쪽 트랙의 아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0번에 도착한 뒤, 방향을 바꿔서 183번까지 가는 와중에 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면 그 요청도 처리한다.
C-SCAN 디스크 스케줄링
기존 SCAN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가운데 쪽에 위치한 트랙 요청은 여러번 처리될 수 있어 공평성을 위배한다.
그래서, 한 쪽 끝에 도달하면 반대쪽 끝에서 탐색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작업 없이 이동만 하는 방식이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