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부제 : 끊임없는 캡슐화와 역캡슐화, 데이터계층과 네트워크계층간의 와리가리

이 그림을 계속 기억해둬야 이해하기 쉽다 !

복습 : 라우터 vs 스위치

< 학습목표 >
스위치 A → 라우터 A → 라우터 B → 스위치B
위 과정에서 데이터 전달과 처리가 어떻게 이루어는지 보고 이해해보자. (가능하다면)

스위치 A

그저 전달
컴퓨터에서 보낸 데이터 받아서 전기신호로 변환 - 물리계층
라우터A에 전송한다 -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상태 - 이더넷프레임

라우터 A

1.
MAC주소 확인, 역캡슐화 - 데이터 링크 계층 1차
받은 데이터의 목적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주소 비교, 같으면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분리
2.
목적지 IP 주소 비교 -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A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목적지 IP 주소의 경로를 알아야 라우팅 가능
출발지 IP 주소를 라우터 외부 IP 주소(공인ip)로 변경한다.
3.
캡슐화 - 데이터 링크 계층 2차
라우터B에 보내질 수 있게 캡슐화한다.
4.
전송 - 물리계층

라우터 B

라우터 A가 하는 일과 동일하다.
다만 2-2 단계에서 출발지 IP 주소를 바꾸어 주었던 것을 다시 라우터 B의 내부 IP 주소로 변경하는 과정이 다르다.

스위치 B

라우터 B가 보내 준 위와 같은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전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