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dusdkel
주로 공부한 내용이나 이슈를 해결한 과정을 포스팅 합니다.
유니티 관련이 많고, 안드로이드는 3개 포스팅 밖에 없습니다...
경력기술서 : https://seunghyeon-hong.github.io/
산출물이 있는 프로젝트를 모아 정리합니다.
직전 회사에서의 업무가 산출물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서… 최근 프로젝트 정리가 조금 어렵네요;
질문
포트폴리오 구성 관련하여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이전에 유니티 개발자로 3년 정도 일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 간의 경력과 포트폴리오가 유니티 프로젝트 뿐 입니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 회사로 지원하려고 하는데, 경력기술서만 보면 유니티 지원자라서…; 포폴 작업의 방향에 대해 조언을 조금 얻고 싶습니다.
•
기존에 작성했던 내용을 죄다 빼고 아얘 새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올리는 것이 나을 지.
•
기존 경력서의 내용을 유지한다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올리더라도 비중에서 차이가 날 텐데,
쁘띠 프로젝트라도 여러 개 올리는 것이 나을 지.
•
아니면, 포폴 갯수가 적더라도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나을 지.
정답이 없는 문제이기에 말씀을 들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아 멘토링 신청합니다 
참고
•
제 기준의 쁘띠 프로젝트란…
QR리더, 날씨 예보, todo리스트 등 보통 1개 기능만을 구현하며 네트워크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 간단한 프로젝트 입니다.
매우 많이 만들 수 있습니다 ㅎㅎ
•
제 기준의 적당한 프로젝트는,
적어도 4~5개 기능을 구현하고 확장성이 고려된 프로젝트 입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퍼즐 게임을 안드로이드로 만든다면,
사운드, 애니메이션, 이펙트 조금, 리스트, 이미지 관리 등의 코드 구현이 필요할 겁니다.
또, 사진을 찍거나 온라인 링크로 이미지를 다운 받아 게임에 쓸 수도 있도록 확장하면, 로컬 저장이 필요하겠네요.
또또, 친구에게 퍼즐을 보내서 대신 풀도록 하는 소셜 기능을 추가한다면 마켓 업로드와 간단한 서버 구현도 해야겠네요 ㅎㅎ
쁘띠 프로젝트는 10개도 가능할 것 같고, 적당한 프로젝트는 1~2개쯤 추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멘토링 답변
•
포트폴리오 준비
◦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취업 하기를 원한다면 안드로이드 역량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유니티 경력 3년도 함께 어필하기
•
로드맵 준비
◦
원하는 분야/서비스를 하는 회사 찾아보고 리스트업하기
◦
회사 지원자격, 우대조건 등을 확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준비하기
•
사이드 프로젝트
◦
본인의 역량에 맞게 완성할 수 있는 프로젝트
◦
원하는 회사와 관련있는 기능을 만들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플레이스토어에 배포까지 할 수 있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