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밋 컨벤션
커밋 메시지 컨벤션
1.
깃모지 + 영어컨벤션 + 한글 커밋 메시지 형식으로 작성
•
•
ex )
Feat : 로그인기능구현 #1 (깃모지+영어+(공백):(공백)한글커밋메세지+(공백)+#이슈번호)
[자주 사용]
:lipstick: UI, 스타일 관련 파일 추가 및 수정
:sparkles: 새로운 기능 추가, 구현
:speech_balloon: 텍스트 또는 리터럴 추가 및 수정
:bento: asset 파일(이미지, 아이콘 등) 추가
:memo: 문서 파일 추가 및 수정
:art: 첫 폴더 추가
:bulb: 주석 추가/수정
:construction: 진행중인 작업
️ :zap: 성능 개선
[종종 사용]
:pencil2: 단순 오타 수정
:bug: 버그 수정
:adhesive_bandage: 단순한, critical하지 않은 이슈 수정
:truck: 파일, 경로, route를 옮기거나 이름 변경
:recycle: 코드 리팩토링
:fire: 삭제(파일, 코드)
:iphone: 반응형 디자인 작업
[가끔 사용]
♿️ :wheelchair: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코드 추가 및 수정
:see_no_evil: gitignore 추가 및 수정
:card_file_box: 데이버베이스 관련 수정
:bookmark: 릴리즈/버전 태그
:lock: 보안 이슈 수정
:tada: 프로젝트 시작
:rocket: 프로젝트 배포
2.
영어컨벤션은 6개만 사용 (Feat, Add, Modify, Style, Delete, Docs)
•
Feat : 기능 추가 (브랜치 맨처음 커밋할때, 기능 추가할때)
•
Add : 코드 추가 (어떠한 기능 내에 기능을 더 추가할 때)
•
Modify : 코드 수정 ( 버그 수정, 코드 지우고, 추가하고, 수정하는 모든 과정들 )
•
Style : 컴포넌트 및 UI 구현 (스타일드 컴포넌트)
•
Delete : 코드 삭제 (코드만 지우는것)
•
Docs : 문서 추가 및 수정
1.
제목은 50글자 이내
2.
제목 + 본문(선택)으로 구성 / 제목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 본문에 자세히 작성
3.
커밋메세지는 무엇을 했는지 파악할 수 있게 자세히 작성
4.
어떻게 보다는 무엇과 왜를 설명하기.
5.
제목의 끝에는 마침표를 넣지 않기
6.
한 개의 커밋에는 한 개의 기능/변경사항만 작성하도록 노력. 1커밋 1기능
한 커밋에는 한 가지 문제만!
•
추적 가능하게 유지해주기
•
너무 많은 문제를 한 커밋에 담으면 추적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