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이란?
깃(Git)은 2005년에 리누스에 의해 개발된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으로,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명의 사용자들 간에 파일에 대한 작업을 조율하는데 사용된다.
•
형상 관리 도구(버전 관리 도구) 중 하나
•
SW 개발에 필요한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Free Software 중 하나
Git을 배워야하는 이유
시간과 차원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여러 사람들과 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Repository 종류
•
Local Repository
◦
나의 PC에 저장되는 개인 전용 저장소
◦
내 컴퓨터 C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
•
Remote Repository
◦
원격 저상소 전용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소
◦
git에 올리는 레포지토리
Local Repository 생성하기
1.
내 컴퓨터에 Local Repository를 sourcetree를 이용해서 만들어보자
2.
원하는 경로에 local repository로 사용할 폴더를 만들고 생성을 해준다.
3.
생성된 저장소에서 터미널을 열어서
4.
$ ls -a 입력하면 ./git/을 확인할 수 있다.
.git/의 유무가 Local Repository 인지 결정짓는다.
•
당연하게도 sourcetree 도움 없이 그냥 폴더 생성하면 ./git/은 없다. git이 관리하는 저장소가 아니다.
Remote Repository 생성하기
Local & Remote 연결하기
1.
sourcetree에서 만든 local 저장소에서 저장소>저장소 설정으로 만들었던 remote 저장소를 연결해준다.
2.
터미널은 열어서 브랜치명을 master
main 으로 바꾼다.
왜 바꾸는거지?
master/slave 관계에서의 주는 뉘양스가 인종차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2.1 $ git branch -M main입력
3.
지금까지의 변경사항은 commit하고 push를 통해 연결한 remote 저장소에 올린다.
4.
git에 접속해 확인하면 push한 내용이 나타난다.
.gitignore
.gitignore 파일을 사용해서 git의 관리 배제할 요소들을 지정할 수 있다.
Git의 관리에서 특정 파일/폴더를 배제해야 할 경우
1.
포함할 필요가 없을 때
•
자동으로 생성 or 다운로드되는 파일들
2.
포함하지 말아야 할 때
•
보안상 민감한 정보를 담은 파일
gitignore 해보기
빨간부분만 git에 올라가길 원하기 때문에 나머지 파일들은
.gitignore
Plain Text
복사
에 등록을 하자.
*.iml => 모든 .iml 확장자 파일
.idea/ => .idea란 이름의 폴더와 그 내용들
out/ => out이란 이름의 폴더와 그 내용들
Plain Text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