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18강. Property

무단 도용 및 복제, 사용 저작권 안내 수업 목적 외에 모든 교안 자료를 무단으로 도용 (URL 연결, 복제, 공유), 불법으로 복사하여 배포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꼭 지켜주세요!

1. 캡슐화

객체가 가지고 있는 변수는 메서드에 구현한 코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만약 변수에 엉뚱한 데이터가 담긴다면 구현한 코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결과가 나올 수 없게 된다.
이에 변수의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여 외부에서 값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을 캡슐화라고 부른다.

2. Property

캡슐화가 적용된 변수는 외부에서의 접근이 차단된다.
캡슐화가 적용된 변수에 대해 메서드를 통해 값을 설정하거나 가져다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Property 라고 부른다.
변수에 값을 넣는 메서드를 setter라고 부른다.
변수가 가지고 있는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를 getter라고 부른다.

3. Property 작성 방법

private 키워드를 변수에 설정하여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변수들 중에 외부에 공개하고자 하는 변수에 대해 settergetter를 지정한다.

4. 주 생성자 사용하기

주 생성자의 매개 변수를 정의할 때 var, val를 지정하면 Property로 작성된다.
vargetter, setter 모두 작성된다.
valgetter 만 작성된다.
class TestClass1(var a1:Int, val a2:Int)
Kotlin
복사

5. 클래스의 멤버 변수

클래스의 변수를 선언할 때 varval에 따라 Property가 작성된다.
var의 경우 settergetter가 모두 작성된다.
val의 경우 getter만 작성된다.
class TestClass2(a1:Int, a2:Int){ var v1:Int = a1 val v2:Int = a2 }
Kotlin
복사

6. 학습 정리

정리
외부에서 변수에 대해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캡슐화라고 부른다.
캡슐화를 적용한 변수에 값을 넣거나 가져다 사용할 수 있도록 setter/getter를 설정한 것을 Property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