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4️⃣

스프린트 회고 2023.05.01

 오늘 나눌 이야기

중간 회고를 통해, 남은 기간 나를 위한 학습 전략을 더 잘 짜는 방법과 액션 플랜 작성하기

프론트엔드 엔지니어의 로드맵

 소프트 스킬의 중요성

논문에서 이야기하는 5가지 역량

1.
좋은 코드를 짠다(Be a competent coder)
2.
작업의 현재 가치를 극대화한다(Maximize current value of your work)
3.
데이터에 기반하여 의사결정한다(Practice informed decision-making)
4.
동료의 효과적 의사결정을 돕는다(Enable others to make decisions efficiently)
5.
꾸준히 학습한다(Continuously learn)

주니어 개발자 1년차가 되면서부터 역량을 크게 가르는 중요한 지점

요구 사항 분석 역량
덩어리째 있는, 불확실성이 높고, 추상적인 요구 사항을 잘 분석하는 주니어분들은 어떤게 다를까요?
세심하다
이해가 안되면 다시 물어본다
우선순위를 정한다
중간중간 확인을 받는다
문서를 잘 정리한다
해야할 일을 순서대로 계획한다
전 자료를 참고한다
사수의 업무스타일 파악
계획을 큰틀과 작은틀로 나누어서 짤 수 있다.
기획자랑 친하게 지낸다
메신저나 소통할때도, 이모지로라도 꼭 남기고 연결하는 소통의 과정이 굉장히 많더라

  중간 회고 - 학습 방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돌아보기 (~9:50)

 아이스브레이킹겸 오늘 기분은 어떤지, 상태 체크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기억에 남고 의미있었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2~3개 (구체적인 경험 위주로)

문학 소설을 읽다가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장면을 1페이지 정도를 필사하고, 거기에 이야기를 추가해보는 그런 수업시간.
수학 문제 내가 이해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면서 다시 한번 이해하기
피아노를 독학으로 배웠었었는데 , 항상 머릿속에서 이미지메이킹을 했던것이 많이 도움이 되었었습니다!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나에게 별로 도움이 안됐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2~3개

충동 결제한 OO 온라인 강의
무지성으로 교수님, 선생님의 이야기를 따라 적었던 OO 교양 수업
고등학교 근현대사 선생님의 회초리 주도 암기법

 2개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능동성
다른 사람에게 설명
1.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기억에 남고 의미있었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2~3개 (구체적인 경험 위주로) 2.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나에게 별로 도움이 안됐던 강의, 학습 방법, 교육 경험 2~3개 3. 2개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Plain Text
복사

 질문

능동성

뭔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게 자꾸 바뀌어서요
다 모르는거 같아서...뭐부터 어떻게 해야될지.........…

TDD (테스트 주도 개발)

TDD를 잘하면 좋은 효과
몰입을 도와주고,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학습을 최적화 하는데 굉장히 큰 도움
의도적인 수련 장치로써 문제를 잘풀게 준비를 시켜줘
실패하는 테스트를 먼저 만들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코드를 짜는 개발 방법
먼저 실패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테스트를 통과하게끔 코드를 작성한다
리팩터링 한다
TDD라는 책을 켄트 벡
테스트 코드는 의도치 않은 유용한 ‘부산물’
‘결정’과 ‘피드백’ 사이의 갭에 대한 인식
더 나아가 결정과 피드백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테크닉
내가 농구를 연습하는데 농구공이 잘 들어갔는지 1주일 뒤 알수 있다?
20년 넘게 양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치과에 가면 여전히 혼나는 이유
테스트 코드
결국은 내 결정이 잘 동작하는지 빠르게 피드백을 얻는 것이 중요한 사고 방식
TDD의 핵심은 ‘피드백’을 받는것
내가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게 더 자주, 더 빨리 ‘피드백’을 받는 것

TDD적인 사고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접근한다면?

TDD적으로 '피드백'을 더 자주, 더 빨리 잘 받는 사고 방식1
동작 가능한 가장 작은 버전부터 만들어보기 단, 핵심을 포함하게
TDD적으로 '피드백'을 더 자주, 더 빨리 잘 받는 사고 방식2
known to unknown
it("최초 렌더링 시 display에는 0 표시", () => { checkDisplay("0"); }); it("숫자 버튼을 1개 누르면 display에 숫자가 표시", () => { pressDigits(["1"]); checkDisplay("1"); }); it("숫자 버튼을 누르고 연산자 버튼을 누르면 display에 연산자 표시", () => { pressDigits(["1"]); pressOperation("+"); checkDisplay("1"); }); it("숫자 버튼을 여러 번 누르면 display에 숫자가 누적 표시", () => { pressDigits(["1", "2", "3"]); checkDisplay("123"); });
JavaScript
복사
강의를 들을 때 내가 모르는게 많이 나옴
다 중요해 보여
그러면 학습이 더 어려워져요
써먹을 맥락
소프트웨어는 문제 해결 도구 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하는 맥락에서 학습하지 않으면 너무 어려워져요
노션을 공부하려고 하면 끝이 없음
노션으로 회고를 쓰고 싶은지, 블로그를 쓰고 싶은지,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고 싶은
파워포인트로 공부하려고 하면 끝이 없음
파워포인트로 1주일 뒤에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발표하려고 한다. 도형을 중심으로, 선분그리는거 중심으로 연습
자전거도 공부하려고 하면 끝이 없음, 공기 역학, 바퀴의 패턴
자전거로 오르막길을 오르려고 한다. 기어에 대한것만 먼저 학습하고 자전거를 타는게 훨씬 더 학습에 효과적
써먹을 맥락속에서
강의를 다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알려고 하기 보다는 지금 내가 해결하려는 맥락 속에서 지금 강의에서 어떤걸 뽑아 먹어야할까?
우선순위가 더 잘보이고, 피드백도 동작 되는 앱을 통해서 더 빨리 받을 수 있고, 지식을 내가 외우는게 아니라 바로 써먹었기 때문에 체화도 더 잘되요

코드를 짜기 힘들때 블로그나 지피티를 이용해서 일단 코드를 똑같이찍어보고 코드를 해석해보는것도 의미가 있을까요~?

GPT를 잘 쓰는것도 중요한 역량
GPT한테 질문을 잘 하는게 중요함
어떻게 하면 내가 GPT한테 더 똑똑하게 질문할지 이거를 GPT랑 같이 연습을 하면
나는 지금 이거에 대해서 궁금해서 이렇게 프롬프트 명령어로 질문을 써봤는데, 어떻게하면 더 너에게 질문을 잘할 수 있을까? 만약 너가 지피티 개발자라면 어떻게 이 프롬프트 명령어를 분석하고 개선시킬것 같아?
JS로 JS 구현하기
스크래치 블록 코딩 ⇒ 스크래치로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만들더라고요.

당장 구현에 필요한 지식?은 한정되어 있는데, 개발자가 되려면 막 책에서 모르는 게 있으면 안 될 것 같아요..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학습하는 습관이 되게 중요해.
이거를 20~30분만 학습한다면 어떻게 학습하는게 효과적일까?
TDD적으로 문제를 쪼개서 정복해 나가는 형식

 목표 리마인드와 2개월 뒤 상상해보기

FE스쿨에 지원할 때 나의 목표는 무엇이었나요?
2개월 뒤 수료식입니다. 그리고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했다고 상상해볼게요. 무엇 때문에 FE 스쿨의 마무리가 만족스러울까요? 구체적인 장면을 떠올려볼게요
2개월 뒤 만족스러운 모습을 위해 지금 나의 학습 과정에서, 다른 시도를 해보고 싶은게 있나요? 가능하면 나의 기존 학습 경험에서 도움이 됐던 키워드를 녹여내볼게요.

  6/5(월) 만나기전 미션

훌륭한 엔지니어의 역량 5가지에에 해당하는 나의 경험을 제목을 붙여서 최소 1개 이상 정리해보기.
예를 들어 ‘좋은 코드를 짜기 위한’ 경험을 ‘재사용 가능한 리액트 컴포넌트 잘 만들기’와 같이 제목을 붙이고, 경험을 정리해본다.

  훌륭한 엔지니어의 역량 5가지

논문에서 이야기하는 5가지 역량

1.
좋은 코드를 짠다(Be a competent coder)
2.
작업의 현재 가치를 극대화한다(Maximize current value of your work)
3.
데이터에 기반하여 의사결정한다(Practice informed decision-making)
4.
동료의 효과적 의사결정을 돕는다(Enable others to make decisions efficiently)
5.
꾸준히 학습한다(Continuously lea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