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2️⃣

연습문제 5 ~ 8

5. 하드디스크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디스크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며 모든 트랙의 섹터 개수가 같고 섹터의 크기가 각각 다른 방식은 무엇인가?

각속도 일정 방식

6. CD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어느 트랙이나 시간당 디스크 이동 거리가 같고 섹터의 크기가 일정한 방식은 무엇인가?

선속도 일정 방식
하드디스크의 구조
스핀들 : 원통축
플래터
1) 자기를 이용하여 0(N극)과 1(S극)의 데이터 저장
2) 2장 이상으로 구성하며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
섹터
1) 하드디스크의 가장 작은 저장 단위
블록(클러스터)
1) 하드디스크와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논리적인 가장 작은 단위
트랙
플래터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동심원상에 있는
실린더
헤드는 디스크 암에 고정되어 있어 한꺼번에 같이 움직이며 그렇기 때문에 플래터의 같은 위치에 있는 트랙을 동시에 접근
여러 개의 플래터에 있는 같은 트랙의 집합
헤드와 플래터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 읽기/쓰기는 읽기/쓰기 헤드 사용
헤드의 수플래터의 표면 수와 일치
CD
원반을 사용하는 저장장치 중 소형 원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중화된 저장장치
트랙과 섹터로 구성
자기장의 성질을 이용하는 하드디스크와는 달리 헤드에서 발사된 레이저의 홈에서의 반사 유무로 데이터 저장
하드디스크 vs CD
1) 구동 방식의 차이
하드디스크는 rpm으로 성능 표시하나 CD는 ‘배속’ 사용
디스크의 회전 속도 차이 존재
각속도 일정 방식(하드디스크)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바깥쪽 트랙의 속도가 안쪽 트랙의 속도보다 빠르다
트랙마다 속도가 다르며 섹터의 크기도 다르다
모든 트랙의 섹터 수는 같고, 가장 바깥쪽에 있는 섹터가 가장 안쪽에 있는 섹터보다 더 커서 바깥쪽으로 갈 수록 낭비되는 공간이 생긴다
구동 장치 단순함과 조용한 작동이 장점
선속도 일정 방식(CD)
단위 시간당 디스크의 이동 거리가 같다.
이를 위해 헤드가 안쪽 트랙에선 디스크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바깥쪽 트랙에선 느리게 해야 한다.
모든 트랙의 움직이는 속도가 같고, 섹터의 크기도 같다
모든 트랙의 섹터 수가 다르며 안쪽 트랙보다 바깥쪽 트랙에 더 많은 섹터 존재
바깥쪽 트랙의 섹터 공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없으나 소음 발생과 모터 제어 복잡의 단점

7. 하드디스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시간 중, 현재 위치에서 원하는 트랙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탐색 시간

8. 하드디스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시간 중, 디스크가 회전하여 원하는 섹터를 만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회전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 = 탐색 시간 + 회전 지연 시간 + 전송 시간
섹터가 있는 트랙까지 헤드가 이동하고, 해당 트랙에서 원하는 섹터를 만날 때까지 회전하는 시간이
탐색시간 + 회전 지연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