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팀 명
씨예스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4회차 2022-11-01 온라인 디스코드 모임 진행
스터디 참여자
이름 | 참석 여부 |
윤인규 | |
한건주 | |
심현보 | |
최수정 | |
김미지 |
스터디 주요 내용
윤인규
한건주
심현보
최수정
김미지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 ROLLBACK 의 경우,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나서 전달된 질의들은 다 사라지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전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COMMIT 을 하게 되면, 트랙잭션을 시작하고나서 요청한 질의들의 결과가 실제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된다.
따라서, ROLLBACK 은 보통 질의 전달 시 문제가 있을 때 예외처리로 사용한다.
묵시적인 LOCK 이 걸리는 예시?
→ SQL의 경우 UPDATE 구문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변경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묵시적으로 WRITE LOCK 이 걸리며, 다른 세션은 잠금이 해제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한다.
→ 히스토리 로그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read 명령에는 기록하지 않는다. 트랜잭션의 write가 수행될 때 로그에 기록된다. 결국엔 write 동작이 로그에 기록하는 명령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