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2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15)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 때 좋았던 부분, 성장한 부분뿐만 아니라, 고민할 지점을 줘서 의미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좋아요. 지난 스프린트 시간에 진행한 페어프로그래밍을 하고나서의 경험을 적어줘도 좋을것 같아요.
이름 | 1달간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김민호 | 1.모르는것은 미리미리 해결하자
2.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까지의 삽질이 나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다. |
김영서 | 1. 팀원들과 swiftUI 과제를 하며 스스로 부족한 부분이 너무나 많다고 생각했다.
그에 대한 고민상담을 팀원과 진행했고, 이 상담이 심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다.
2. 그동안 시간을 허비해왔다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 개인여가시간을 잘 활용 해야겠다고 느꼈다. |
염성필 | 1. SwiftUI 화면 구성하는것이 재미었다. but, 하면 할 수록 더 어렵게 느껴졌다.
2. 회고를 통해 멘탈을 부여잡고 좌절 보다는 현실을 깨닫고,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었다.
3. 많은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배웠던 기술을 활용해서 반복적으로 연습하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다시한번 기초를 다잡는 계기가 되었다. |
정세훈 | 1. 개발학습에 대한 방향성을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2. SwiftUI가 쉽다고해서 쉬운줄 알았는데, 막상 스스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보니
개인적으로 추가적인 학습을 진행해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찾아서 하는 학습) |
김태형 | 다른 사람이 푼 알고리즘 문제를 보고 기죽기보단 자신 있게 하기로 다짐했다. |
정소희 | 1. 회고를 하면서 나에대한 부족한 점을 알았지만 생각보다 부족한 점을 빠르게 채워나갈 수 없는 점에 대해서 느리더라도 포기만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
2. |
추현호 | 1. 건강 생각하게 된 점.
2.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천천히 가기로 한 점. |
2. 상상해봅시다. 팀 프로젝트를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만족스러울까요? 2~3가지를 적어주세요. (~9:50)
이름 | 팀 프로젝트가 만족스러운 경우에 대한 상상해보기 |
김태형 | 1. 수단과 방법을 떠나서 계획했던 것을 완료했을 때
2. 당장 배포해도 무방할 정도의 완성도 있는 앱이 나왔을 때
3. 1인분 했을 때 |
염성필 | 1. 모두가 하나 되어 기간안에 계획했던 프로토타입 앱을 만들었을 때
2. 앱은 완성하지 못했지만 앱 구성에 대해 모든 팀원들이 이해가 되었을 때
3. 다른 팀원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해당 파트를 마무리 했을 때 |
김민호 | 1.내가 성장했음을 느꼈을 때
2.마음에 잘맞는 팀원들을 만나서 일이아닌 놀듯이 앱개발을 했는데 결과물이 좋게 나왔을 때 |
추현호 | 1. 다들 어느정도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그것을 이겨내고 다같이 결과물을 만들었음에 만족스러울 것.
2. 내가 스유로 만든 첫 앱, 미워도 내 새끼, 만족 안 할 수가 없을 것이다. |
정세훈 | 1. 불화 없이, 화목한 분위기에서 프로젝트를 마무리 한 경우.
2. 목표 했던, 기능 및 요구사항을 온전히 구현한 경우. |
정소희 | 1. 한 사람의 의견을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닌 다 같이 의견을 내면서 더 좋은 의견을 가지고서 앱을 만들었을 때
2.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구현했을 때 |
김영서 | 1. 내가 민폐끼치지 않고 맡은 바를 구현 해냈을 때
2. 의견 충돌이 생겨도 잘 해결해내 모두가 기분 좋게 프로젝트를 마무리 했을 때
3. 몰랐던 부분에 대해 새롭게 배우고 내것으로 만들었을 때 |
우리가 상상했을 때 성공적인 팀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을 뽑아봤습니다. 이렇게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를 최대 3개까지 조별로 뽑아주세요.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 공통 키워드 3가지
이름 |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 공통 키워드 3가지 |
김태형 | 1. 높은 효율의 협업을 하기 위해 다 같이 노력하기
2. 팀원들과 충분한 토론으로 의견 공유하기
3. 완성도 있는 앱 만들기 |
염성필 | 1. 앱 로직 짜기
2. 1인분하기
3. 화기애애한 팀 분위기 |
김민호 | 1.”어”? 금지
2.주말에는 좀 쉬기
3.프로젝트 내 회고가 필요할것같음 |
추현호 | 1. 의견조율. 한 명의 의욕이 너무 없어도, 너무 과해도 문제다. 다 같이 한 배를 탄 듯 협업하는 법
2.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 (착하게 하겠다고 다 좋아요 좋아요하면 이도저도 아닌게 된다. 맘 상하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 낼 수 있는 분위기)
3. 체계적으로 하기(계획, 데모, 문서화, 테스트) |
정세훈 | 1. “화목하게”
2. “프로젝트 완성하기”
3. “문서화 및 정리하기” |
정소희 | 1. 배가 산으로가지않게 리더 뽑기!
2.앱이 완성되기 전까지 매주 한번 회고시간 가지기
3. 서로 존중하는 태도 유지하기 |
김영서 | 1. 1인분 하기
2. 팀원들과 충분히 의견 공유 하기
3. 서로 배려하며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 마무리 하기 |
공통 키워드 리스트
1.
자유로운 의견 공유
2.
협업
3.
완성도 있는 앱
3. 우리 회고팀의 원칙과 규칙을 만들어보자
원칙 최대 3가지, 규칙은 원칙 별로 1~2가지 정도 까지만 만들어보기
원칙이 더 잘 실현되기 위해서 어떤 규칙이 필요할지 1~2가지 정도만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11시 25분 정도까지 회고팀의 원칙과 규칙을 자유 양식으로 적어보고,
11시 50분까지는 자율 학습으로 활용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1 원칙 | 모두가 의견 내기
규칙1. 조용한 조원에게 의견 묻기(조용하면 성대모사하기) 대신 김영서 일부러 조용x
규칙2. 좋아요~좋아요~하면서 다 넘기지 말기(의미없는 결론도출)
좋으면 왜 좋은지, 싫으면 왜 싫은지, 이해된 척 넘기지 말고
맥커터(맥끊는 사람) 대환영!!!!!!!! |
2 원칙 | 너무 공부에 치중되지 않게 서로의 조력자가 될 수 있도록 하기(낭만 챙기기)
규칙1. 잡담 많이하기(과열되지 않도록 대화 환기하기) + 창문환기하기 (입냄새 체크)
규칙2. 리액션 잘해주기 |
정세훈 공듀 의 의견 | 각자스위프트공부한것을ppt3장분량으로 설명할 정도로 공부해온다음 직접 실습
싫다고 말하는 연습 거울보고 3번 ㅋㅋㅋㅋㅋ 싫다 싫다 싫다 모에모에꿍
잘생겼으니까 봐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