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OSI 데이터 링크 계층-2

이전 시간 복습

0,1로 이루어진 비트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첫번째 계층인 물리계층 (LAN)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해석 하는 기능을 했다.
이번에는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기술을 가진 두 번째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해 알아본다.
데이터 링크계층 - 네트워크 장비 간(LAN)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 ex) 이더넷
데이터 충돌 방지 - CSMA/CD (레거시) , 스위치
더미허브에서 문제점이였던 불필요한 곳까지도 전송을 제어할 수 있음
MAC 주소 - 랜 카드를 제조할 때 정해지는 물리적인 주소
랜카드 별로 정해진 고유번호
MAC주소를 통해 데이터 링크계층에서의 헤더를 구성함.

이번 시간 키워드

스위치의 구조
MAC 주소 테이블 관리 - ARP
허브 vs 스위치
충돌 관리 , 충돌 도메인 범위, 전이중/반이중 통신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 케이블 종류, 통신 속도에 따른 규격

Lession 14. 스위치의 구조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스위칭 허브 라고도 불린다. 이전에는 허브로 많이 쓰였던 기능인데 충돌방지면에서 스위치가 더 뛰어나서 요즘 랜 허브라고 불리는 것들은 이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우리가 흔히 아는 허브는 이더넷허브라고 해서 스위치가 아닌걸 사용하고 있었고 ( 랜 케이블 꽂는거 하나 인 허브) 랜 허브 는 랜 케이블 여러개 꽂을 수 있어 충돌방지를 위해 스위치를 다 쓰고 있었다.
스위치 내부에는 MAC 주소 테이블이 있다

MAC 주소 테이블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MAC 주소 학습 기능 : 처음 스위치의 주소 테이블에는 아무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고,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가 추가된 프레임이라는 데이터가 전송되면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MAC 주소를 포트와 함께 등록한다. - 허브에는 없는 기능
플러딩
필터링

Lession 15.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통신 방식에 따른 충돌 관리
통신 방식에는 전이중 통신 방식반이중 통신 방식이 있다. 전이중 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반이중은 발생한다.
충돌 도메인 -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 예를 들어 허브는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전체가 하나의 충돌 도메인이 된다. 충돌 도메인의 범위가 좁아야 네트워크 지연이 적어져 통신 효율이 높아진다.
허브 vs 스위치
허브 - 반이중 통신 방식, 스위치- 전이중 통신 방식
충돌 도메인의 범위가 허브가 넓어 통신 효율이 떨어진다.

Lession 16.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이더넷은 네트워크 장비 간(LAN)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이며, OSI 모델의 물리 계층 (LAN카드, 케이블 영역)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 주소와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LAN 케이블 종류나 통신 속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분류된다.

추가 검색 사항

1.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란?

2. 이더넷, 인터넷, 웹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