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2️⃣

연습문제 8 ~ 14

연습문제 8

Q. 여러 개로 나뉜 파티션을 하나로 묶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A. 마운트

마운트

파티션 : 논리적인 디스크 분할
윈도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
C 드라이브, D 드라이브, F 드라이브 등, 문자를 붙여 각 파티션을 구분
초기 윈도우는 디스크 크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의 최대 디스크 크기가 제한됨
→ 파티션을 나누어 파티션마다 서로 다른 파일 테이블을 사용
유닉스
파일 테이블의 크기에 제한이 없음
하나의 파일 테이블로 여러 개의 디스크 / 파티션을 통합하여 관리 가능
마운트 : 여러 개의 파티션을 통합하는 명령어
마운트 사용 시 여러개의 파티션을 통합할 수 있다.
외부 저장장치도 마운트로 파티션에 붙이고 분리할 수 있다
보통 유닉스에서는 /dev 아래에 외부 저장장치를 마운트 해 사용한다.
1.
파티션 b와 c는 아직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
2.
파티션 b 가 /home 에 마운트 된 상태
3.
파티션 c가 /home/user1에 마운트 된 상태

연습문제 9

Q. 디스크 할당 방식에서 파일에 속한 데이터를 연결 리스트로 관리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A. 연결 할당 방식

연습문제 10

Q. 윈도우의 FAT는 어떤 파일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가?
A. 연결 할당 방식

연결 할당

파일에 속한 데이터를 연결 리스트로 관리하는 방식
파일 테이블에는 시작 블록에 대한 정보만 저장
나머지 데이터는 시작 블록부터 연결하여 저장
파일의 맨 끝에 해당하는 블록에는 링크 대신 널null을 삽입
체인 할당이라고도 한다.
테이블 형태로 관리
ex. 윈도우의 FAT
FAT : 파티션 전체 블록에 대한 정보를 가진 테이블
열의 개수가 파티션에 존재하는 블록의 개수
FAT에 각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어떤 블록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블록 번호가 있다
왼쪽 테이블 : 파일의 정보와 함께 파일의 시작 블록 정보가 있음
FAT의 버전에 따라 FAT12, FAT16, FAT32가 있다
숫자는 파일 할당 주소의 최대 크기를 나타낸다
파티션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용량이 테이블의 주소 크기로 제한됨

연습문제 11

Q. 디스크 할당 방식에서 데이터의 인덱스를 담고 있는 인덱스 블록끼리 연결하여 최대 할당 크기의 제약이 없는 방식은 무엇인가?
A. 인덱스 할당 방식

연습문제 12

Q. 유닉스의 I-node는 어떤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가?
A. 인덱스 할당 방식

인덱스 할당

인덱스를 이용한 할당 방식
테이블의 블록 포인터가 데이터의 인덱스를 담고있는 인덱스 블록을 연결
인덱스 블록은 실제 데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순서대로 보관
테이블이 꽉 찬 경우 → 간접 인덱스 블록을 만들어 테이블을 무한히 확장 가능
유닉스의 I-node가 사용 예시

I-node 파일 시스템

파일 제어 블록
파일 소유자와 각종 속성을 나타냄
파일에 대한 모든 권한의 정보를 포함 → 슈퍼 블록이라 부름
블록 포인터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위치를 직접 연결하는 포인터
간접 포인터
크기가 작은 파일은 직접 연결된 블록 포인터로 빠르게 접근 가능
블록 포인터가 다 차면 인덱스 블록 생성 후 간접 포인터를 생성해 인덱스 블록을 연결
이중/삼중 간접 포인터
파일의 크기가 커서 인덱스 블록 하나로 다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 이중 간접 포인터를 사용
이중 간접 포인터로도 연결이 불가능하면 삼중 간접 포인터를 사용
256 x 256 x 256 개의 인덱스 블록을 연결 가능

연습문제 13

Q. 디스크의 빈 공간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는 무엇인가?
A. 빈 공간 리스트

연습문제 14

Q. 빈 공간 리스트에서 방금 지워진 파일은 리스트의 어느 쪽에 추가되는가?
A. 맨 뒤에 추가된다.

빈 공간 리스트

파일 B가 실행될 때와 삭제된 후의 빈 공간 리스트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의 내부 단편화를 줄이고 빈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빈 공간 리스트를 유지한다
빈 블록의 정보만 모아놓음
파일 삭제 시 파일이 사용했던 공간을 일일이 지우지 않는다
→ 파일 테이블의 헤더를 삭제
→ 사용했던 블록을 빈 공간 리스트에 등록하는 것을 파일이 삭제된 것으로 간주
삭제 시 원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어떤 데이터를 지우고 새로운 데이터를 디스크에 넣을 때 리스트에 있던 블록 중 맨 앞에 있는 블록에 할당
→ 디스크 복구가 가능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