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1.
CPU마다 기계어가 다르고 2. 운영체제마다 API가 다르고 3. 운영체제마다 실행파일 형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바는 각각 다른 운영체제에 호환되는 JVM 때문에 어디에 종속적이지 않는다, 이는 플랫폼에 독립적이라는 뜻이다.
“변수를 선언한다 = 메모리를 할당한다 = 메모리를 확보한다” —> 메모리를 관리하는 주체는 OS
상수
fianl int num = 100;
•
final을 선언하면 상수가 된다
•
변수를 선언한 후 처음 값을 할당할 때만 가능하고 그 이후 변경이 불가하다
•
대문자로 표기한다 ex) MAX_VALUE
형변환(casting)
컴퓨터는 이진수만 알기 때문에 연산시 데이터 타입을 맞추기 위해 “캐스팅”이 필요하다.
자동 형변환시 자료형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 큰 방향으로, 정수에서 실수 방향으로 변환된다.
연산자
단항연산자
단항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단 하나를 의미하며, 부호연산자(+,-), 증감연산자(++,—), 논리부정연산자(!)가 있다.
이항연산자
이항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두 개를 의미하며, 산술연산자,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대입연산자가 있다.
삼항연산자
삼항연산자는 피연산자가 세 개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반복문
while (조건식) { 반복할 것들 }
조건식이 true이면 반복하고, false이면 탈출한다.
do ~ while 반복문
do while문은 조건과 관계없이 중괄호 부분을 먼저 실행하기에 무조건 1번은 실행한다.
For 반복문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 을 활용해서 연산의 횟수를 줄이는 방식을 고려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