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회고
•
좋은데 잘 하고있는건지 잘 모르겠어요
•
정해진 틀과 정해진 시간이 있어서 약간의 부담감이 있습니다.
•
양식을 정하기보다 대화를 하면 좋겠어요
◦
적은걸 그대로 읽는것보다 미리 읽어와서 그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건 어떨까요? 시간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자연스러운 회고가 될 것 같아요.
◦
회고 작성 기한
▪
금요일 밤까지 작성하고 토요일에 회고하는건 어떨까요?
▪
회고 시간 한 두시간전 까지적기?(일곱시반??)
채택
•
회고하고 방향성에 대해 같이 이야기, 회고 평가하기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
월요일에 회고에 대해 평가하기 어떠세요?
메이커준님 수업
Q. 팀단위로 이루고 싶은 목표를 잡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
공감, 학습적인 측면에서 나눌 수 있는 것 등 각자가 원하거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방법이 다름
•
7명이 다 모이기보다는 각자의 스타일에 맞게, 관심사별로 소그룹으로 모이고, 마이크로 회고를 가지는 것도 좋은 방법
뽀모도로 방법
타이머로 시간을 정하고 마이크로 회고를 자주 가지면서 현재 잘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하기
•
실험해서 각 조에 맞는 스타일을 찾는게 중요함. 대신 어떻게 하면 빠르고 저비용으로 실험해볼 수 있을까 고민이 필요!
Q. 개인의 자율성과 팀 활동의 강제성 사이에서 타협점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
개인 스타일을 계속 얘기하면 이야기가 빙빙 돌게 됨
•
공동의 목표나 결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해볼 수 있을지 고민해보기
•
(영웅님 코멘트) 개발자는 혼자 고립돼서 일하지 않습니다. 협업하고 팀으로서 활동합니다. 개발하는 시간보다 회의하고 같이 고민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경우도 많습니다. 그걸 맞춰가는게 어떨까요
Q. 대화를 나눌 주제에 대해 효율적으로 고민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회고 주제로 삼았으면 하는 것들을 키워드, 문장으로 채팅 등에서 나누면 자연스럽게 여러 소그룹으로 나뉘더라고요.
Q. 좀 더 자유로운 분위기를 이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심리적 안정감이 들고 친해야…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를 시도해보기
소그룹으로 진행하는걸 어떨까요??
소그룹으로 나누는 기준 - 랜덤? 공통된주제를 갖은사람들끼리? 더 공부하고싶은 내용? 프로젝트를 해보고싶다?
얻는것 - 학습적 멘탈적ㅠㅠ
소그룹??
하고싶은말을 바로바로 말해주기!!
미리 회고를 작성하고 읽어오기
점심시간 어려워요
수업 끝나기전에 원하는 주제를 올려주셔서 수업 끝나고 다같이 이야기 하기
무엇을 만들고싶은지 발표하기
배민 입사 방법
회고를 매번 발전 시켜야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