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의 종류
1.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을 통과하는 데이터는 패킷이라고 하는 더 작은 조각으로 나뉜다.
•
IP 정보는 각 패킷에 첨부되며, 라우터가 패킷을 올바른 대상에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
IP는 주소를 지정하기 위한 규칙의 집합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P의 상위 프로토콜
•
전송 계층에서 정보 전달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약
•
한번에 메시지를 전달하기 보다, 작은 단위(패킷)으로 쪼개서 메시지를 전달한다. TCP는 전달받은 패킷들을 재조립하고, 손상되거나 손실된 패킷이 있다면, 재요청한다
3. UDP(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형, 신뢰성이 없는 전송 프로토콜
•
흐름제어, 오류제어를 하지 않고 손상된 세그먼트를 다시 요청하지 않는다
•
따라서 내용이 전송 중에 손실 될 수 있고, 전송되는 세그먼트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4.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TCP의 상위 프토토콜
•
웹(응용 계층) 상에서 HTML을 통해 전송하는 규약
•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권한이 없는 당사자가 인터넷을 통해 쉽게 액세스하고 읽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5. SSL(Secure Socket Layer)
•
암호화 기반 보안 프로토콜
•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된다
•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
6.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한다
7.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한 규약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