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1. 사전 미션 내용을 능동형으로 바꿔보기
이름 | 능동형으로 바꾸기 |
윤선호 | 다양한 환경에서도 팀에 기여할 수 있는 회 |
이미현 | 팀에서 정한 컨벤션을 지키는 것을 통해 쉬운 서비스 유지보수에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이석형 | 팀원들과 함께 성장하여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이슬아 |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에 참여하여 함께 성장하는것에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정유송 | 자체 서비스 기획을 같이 논의하고 발전시키는 것에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정종미 | 일과 워라밸을 맞춰 일에 집중하여 능률을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한수정 | - 수평적인 분위기 속에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개발이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회사가 개개인의 성장을 장려하고 그것을 고민하며 조직 전체 성장헤 기여할 수 있는 회사 |
활동2. 전체 교육 과정을 마무리 했을 때 나는 어떤 상태이면 만족스러울지
- 내가 생각하는 교육 과정을 마무리했을 때 성장하고 싶은 목표 3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했지만 불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윤선호 | 이미현 | 이석형 | 이슬아 | 정유송 | 정종미 | 한수정 | |
목표1 | 프론트엔드 전반적인 기술을 이용해 웹 제작 | 1일 1회고를 통해 오늘의 잘한점, 개선점, 배운점 정리하기 | 페이지 구현하며 써본 새로운 기술 습득하기 | 오늘 배운 내용과 부족한 부분, 궁금했던 부분과 해결방법 위주로 블로그 작성하기 | 꾸준히 학습한 과정을 블로그에 기록하기 | 개발자로 성장하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주 2~3회 포스팅하기 | 개발 블로그에 공부한 과정 기록하고 꾸준히 잔디심기 |
목표2 | 깃허브나 블로그에 게시한 글들을 나중에 볼 때 도움이 되는 것 | 사용자 경험, SEO를 고려한 프로젝트 만들기 | 좋은 주제들이 많은 기술 블로그 만들기 | 프로젝트를 통한 다양한 경험과 해결방법을 기록하여 나만의 포토폴리오 작성하기 |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 풀이 실력 향상 | 클론코딩이 아닌 코드를 이해하고 웹페이지 제작하기 | 꼭 깔끔한 코드가 아니어도 처음부터 끝까지 프론트엔드 기술을 사용하여 작은 프로젝트 완성하기 |
목표3 | 하고 싶은 일, 가고 싶은 회사에 대한 명확한 방향 | 자료구조, 알고리즘 공부로 코딩 테스트 대비하기 | 시각화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만들기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도전 | |||
해당 목표를 달성했지만 불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 1. 내가 가진 기술이 아니라 단순 구글링을 통해 얻은 기술로 제작된 웹 2. 교육 과정 마무리 후에도 명확한 방향을 못 찾을 경우 | 1. 회고를 통한 성장이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일기와 같은 느낌이 들 경우
2. 코드 복사 + 붙여넣기 식의 프로젝트를 완성할 경우
3. 공부는 했지만 정작 문제는 못 풀 경우 | 1. 커밋을 위한 커밋 그리고 양을 채우기 위한 포스팅이라고 생각이 들었을 경우
2. 목표한 웹사이트를 만들었지만, 크고 작은 버그들을 고치기 힘들었을 때 | 1.복사 붙여넣기로 다시봤을때 이해가 안되는 내용일경우
2.무리한 시간투자로 복습에 흥미가 떨어질 경우
| 1. 의미 없는 글을 올리거나 글을 써내려가는 것에 너무 많은 시간을 쏟았을 경우
2. 알고리즘 문제 풀이할 때 구글링을 통해 참고해서 문제를 풀고 따로 학습을 하지 않은 경우 | 1.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글을 쓰기 위해 내용만 채울 때
2. 목표만 달성하기 위해 의미를 잃어 보람이 없을 때 | 1. 포스팅만을 위해 정확한 이해와 나의 견해 없이 구글링해서 올린 경우
2. 프로젝트에 쓰이는 코드를 학습하지 않고 기능 구현을 위해 가져다 써서 왜 이런 코드를 썼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지 못하는 경우 |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 1. 웹 제작 시 교육 과정 중에 올린 깃허브나 블로그를 참고해 부족하거나 기억이 잘 안나는 부분을 채울 때 2. 뚜렷하진 않더라도 찾은 방향에 대한 어느정도 확신이 서는 경우 | 1. 내가 내 코드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든 경우
2. 의미있는 성장이 느껴지는 하루를 보냈을 때 | 1. 계획한 일의 전부를 끝내지는 못했지만 유의미한 성장을 했다고 느껴졌을 떄
2. 웹페이지를 계획대로 만들지 못했지만 스스로 성장했다고 느껴졌을 때 | 1.문제가 생겼을 때 기록한 내용을 보고 해결했을 때
2. 스스로 만든 결과물에 대한 뿌듯함과 기록했던 내용들이 기억에 남을 때 | 1. 문제를 많이 풀진 못하더라도 모르는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질문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 경우
2. 프로젝트에 활용은 못 하더라도 공식 문서 등을 통해 학습한 경우 | 1. 시간이 오래 걸려 오늘 할 일을 다 못했지만, 오늘 공부한건 다 이해가 됐을 때
2. | 1. 블로그에 올리지는 못했지만 스스로 학습하며 이 내용을 올리면 좋겠다 라는 판단과 이해가 있을 경우
2. 수료 전 프로젝트 완성을 하진 못하더라도 과정을 통해 배운것들을 활용하여 수료 후 스스로 리팩토링 및 보완이 가능한 경우 |
역량과 목표의 재설정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해보기) | 확신을 가지고 방향을 정하고 이에 따라 프로젝트 준비, 개념이나 부족한 부분을 대비해 정리를 하기 | - 의미있는 성장을 목표로 1일 1회고 하기
- 프로젝트 완성을 목표로 두기 보다는 동작에 왜 해당 코드가 필요한지 꾸준히 고민하며 내 코드를 설명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목표로 하기
- 기초 개념을 탄탄히 잡고, 난이도를 단계적으로 높여가며 문제 풀이하기 | 1. 현재 하고 있는 수업, 스터디, 운동 등 내 삶의 루틴에 확신을 가지고 정진하기
2. 에러를 해결했을 때, 남들에게 이 에러가 생긴 이유와 해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부하기 | 1.일 1커밋 스터디 참여하기
2.내가 완벽하게 이해한 코드를 사용하여 자신감있게 설명할 수 있는 프로젝트 만들기
3.무리하게 많은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아닌 핵심위주로 정리하기
| - 매일 배운 내용을 정리하기 보다는 그 주에 의미 있는 내용을 찾아 글을 적기
-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개수에 집중하지 않고 이게 왜 그런가 하는 질문하는 자세 가지기
- 새로 배우고 싶은 기술을 공식 문서를 통해 학습하기 | 1. 습관을 위해 매일매일이라는 목표를 주 단위로 내가 가능한 횟수로 조정하기
2. 힘들면 쉬어가기, 목표 달성 보다는 나의 상태를 우선으로 두기 | 1. 배운것을 복습하며 꾸준히 잔디를 심고, 그 과정에서 올릴만한 키워드를 뽑아 일주일에 한두개 포스팅하기
2.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운것들을 소화하는것에 초점을 맞추고 기간에 대해 급급해하지 않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