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피드백 시각
2022.10.20 16:00
참여인원
강동연, 김민지, 손세열, 이상준
(변흥섭, 박기문 : 아기사자반)
피드백 사항
1.
강동연 : 어제 배운 내용들을 복습하면서 spring에 대해 조금 더 이해가 갔다. 아직 @ExtendWith, @ContextConfiguration, @Autowired, @BeforeEach 이 각각 무슨 의미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정확하게 모르지만 이 부분들은 따로 공부를 해서 이해해야 겠다. 예외를 처리하는 try-catch도 항상 어렵다 생각해와서 많이 사용하지 않았었는데, 실습을 하면서 계속 따라하다보니 이제 별로 어렵지 않다고 느껴졌다. 예외처리를 테스팅하는 문법 구문은 조금 어려웠기 때문에 잘 익혀두어야 겠다.
2.
김민지 : 코드를 구현하면서 예외처리를 하더라도 따로 테스트를 해본 적이 없었는데 단위 테스트에서 assertThrow를 통해 예외처리를 Test를 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spring을 배울 때 JDBC 코드에서 중간에 예외처리가 발생하더라도 사용한 리소스(PreparedStatement, Conncection)을 반환해야하기 때문에 finally 문을 해주어야한다는 것을 학습하면서 코드를 구현하면 리소스 반환에 더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3.
박기문 :
4.
변흥섭:
5.
손세열 : Stack알고리즘 코드를 작성하며 전위연산자와 후위연산자의 활용을 통해서도 코드를 좀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예외처리를 하면서 이론설명에서 나오는 예외처리와는 다른 형태의 예외처리를 하게 되어 예외처리는 간단하게 할 수 있는게 아니라는 느낌을 받았다. 각 문법들의 여러 활용을 코딩으로 많이 볼 수 있도록 해야겠다
6.
이상준 : java와 db를 연동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복습해 봤는데, 코드를 구조화하고 공통적인 부분을 따로 떼어주는 것과 같은 리팩토링 과정을 거치면서 spring에 대해 아주 조금은 이해해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구체적인 annotation들의 의미, 활용법, 그리고 예외처리에 대해서는 더 깊게 생각해 봐야겠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