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프로젝트를 어떻게 하면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있을까?
1. 두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2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15)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 때 좋았던 부분, 성장한 부분뿐만 아니라, 고민할 지점을 줘서 의미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좋아요. 지난 스프린트 시간에 진행한 페어프로그래밍을 하고나서의 경험을 적어줘도 좋을것 같아요.
이름 | 1달 간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예원 | 1. 회고 팀원과 함께 회고를 하면서 한 주를 돌아보면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2. 모든 사람들이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을 보고 본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조금씩 따라해봤다.
(복습하기, 주말이나 수업마치고 추가 학습하기 등)
3. 내가 생각하는 앱에 대해서 어떻게 말해야 다른 사람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해볼 수 있었고,
팀원들과 아이디어를 개선해나가면서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매꿔나갈 수 있어서 좋았다. |
진형 | 1. 얼굴을 본 적이 없어도 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 피드백을 주고 받는 것에 부담감이 줄어들었다.
3. 자극을 받아 블로그를 작성하게 되었다. |
성민 | 1. 앱스쿨 내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고민을 나눈 것.
2. Let us go 세미나에 참석해서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발표를 듣고 네트워킹한 것. |
석준 | 1. 블로그든, 간단한 프로젝트 앱 코딩이든 완벽하게 하려고 하기 보단 일단 시작하려 노력한 점.
2. 앱 아이디어 회의에서 피드백을 어떻게 하면 잘 주고 받는지 한번 더 고민해보았던 것. |
승준 | 1. 많은 사람과 소통하면서 개발 경험을 쌓아갔던 것
2. 모자랐던 부분을 어떻게 채워나갈지 고민하고 시작했던 것
3. 팀원들의 도움으로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내 프로젝트의 단점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 |
원형 | 1. 서비스 앱에 관련된 crm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알아봄
2. ads를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킬수 있는 시간을 가짐 |
혜성 | 1. 앱 아이디에이션 회의를 통해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이 좋았다.
2. 문서를 이해하는 어려움이 초반보다 훨씬 좋아졌다.
3. 기술적으로 궁금했던 점을 어떻게 글로 표현할 수 있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
형구 | 1. 소통과 개발 경험을 통해 방향성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잡아 나간 것
2. 공식 튜토리얼과 조별 과제 등을 화면을 공유하고 함께 진행하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나로 합치면서 조율해나가고 앱을 발전시키는 것을 경험
3. 앱 아이디에이션(ADS)를 통해 나의 아이디어를 조금더 구체화 시키는 경험 |
2. 상상해봅시다. 팀 프로젝트를 굉장히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만족스러울까요? 2~3가지를 적어주세요. (~9:50)
이름 | 팀 프로젝트가 만족스러운 2-3가지 경우에 대한 상상해보기 |
예원 | 1. 내가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을 원하는 만큼 구현했을 때
2. 팀원들과 소통이 원활하고 모두가 프로젝트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때
3. 부족한 부분이 있거나 개발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생기면 서로에게 의지할 수 있을 때 |
성민 | 1. 구현 시 필요한 기술들에 대해 같이 토의하고 배워나갔을 때
2. 발전을 위한 피드백이 오고 가고 소통을 통해 소외 되거나 독단적 행동하는 인원 없이 프로젝트가 진행 되었을 때
3. 원했던 결과물이 아니더라도 작동이 됬을 때 |
진형 | 1. 서로의 의도를 알고 내가 진행한 부분을 동료가 바로 이어서 개발을 이어나갈 수 있을 때
2. 한 명의 머리에서는 나오지 않았을 결과물이 보였을 때 |
석준 | 1. 앱 기획을 탄탄히 하고 그것에 대한 소통이 잘 되어서 팀원 모두가 오해가 없이 프로젝트를 진행이 되었을 때
2.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로가 모르는 부분에 대해 질문하거나 아는 부분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 원활하게 이뤄질 때.
3. 기능 구현의 난이도에 따라 구분하고, 순차적으로 진행했을 때.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구현해야 할 것, 구현해야 하는 기능이지만 어려운 것,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추후에 기능 구현해도 될 것 으로 구분하고 추후에 구현해도 기능을 조금이라도 도전해 본 상태로 프로젝트가 마무리 될 때. |
승준 | 1. 서로가 서로의 코드의 배경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을 구현하고 프로젝트가 진행될 때
(다툼의 여지가 적고, 동일한 페이스로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기 때문)
2. 기능 구현의 아쉬움과 완성기한 사이에서 적절한 소통으로 분업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될 때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해서 아쉬움 없이 프로젝트를 마무리했기 때문) |
원형 | 1. 원하고자 하는 기능의 구상보다 구현이 팀원의 회의를 통해 더 뛰어날 경우
2. 실제 프로덕트처럼 구동이 가능한 앱이 완성되었을 경우
3. 팀원끼리 맡은 분야가 정확히 구분되고 서로 트러블 해결하기위해 같이 노력해서 끝 마친 경우 |
혜성 | 1. 원했던 결과물
2. 꾸준한 소통으로 원활한 개발이 진행 되었을 때
3. 목표했던 기간안에 각 기능들을 구현 했을 때 |
형구 | 1. 목표한 기능을 모두 구현해냈을 때
2. 프로젝트를 통해 나의 개발 실력이나 시야가 스텝업 되었을 때
3. 앱을 기획 개발 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프로세스 아래 정돈된 상태로 순조롭게 진행 되었을 때 |
우리가 상상했을 때 성공적인 팀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는 요소들을 뽑아봤습니다. 이렇게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를 최대 3개까지 조별로 뽑아주세요.
중요한것 같은데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막연한 것 공통 키워드 3가지
1.
소통
2.
완성기한에 맞춘 구현
3.
프로세스
- Process : 기획(2주까지도 괜찮았다)은 생각보다 길게 가져가도 좋다.
-컨벤션 : 초반에는 1~2가지만 정해보면서 초반에 작은 단위로 자주 같이 돌아보면서 규칙을 추가해나가는게 훨씬 더 효과적
어떤게 더 좋은지 감이 안잡히기 때문에 더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음
매일 컨벤션에 대한 회고나 이야기를 10분씩
1주일 동안 컨벤션을 계속 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케이스도 있었음
짧은 단위로 여러번
•
키워드 중심으로 원칙 → 규칙 순서로 정해보자!
회고 T10조의 원칙
•
솔직하고 친밀하게 소통하고 서로를 존중해요
1.
서로에게 공격적인 감정이 없다는 걸 부드럽게 표현하고 솔직하게 피드백해요.
2.
핵심적인 내용은 사실적인 근거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설득해요.
3.
정해진 정답은 없으니, 부끄러워하지 말고 질문하고 더 많이 알아가요.
4.
디코에서 서로의 오디오를 존중하고 상호 피드백을 위해 이모지를 활발히 사용해요.
•
10조의 조원으로서 함께 즐겁게 성장해요
1.
자기PR과 함께 취미를 공유해 주세요(TMI 지속적 업데이트!).
2.
쓸데없는 말까지 즐겁게 공유해 주세요.
3.
일주일에 2회, 블로그 글을 정리하거나 인상깊게 읽은 아티클을 공유해 주세요(여유롭게).
a.
우리의 애정은 블로그 하트로 남겨보아요.
b.
아티클은 읽을거리에도 추가해 주세요.
•
회고에서 정한 액션에 대해 기한을 세워서 매일매일 수행해요
1.
화요일마다 지금까지 수행한 액션에 대한 짧은 일기나 감상을 남겨주세요.
2.
서로의 동기부여를 위해 스프린트(2주)가 마무리되면 개인 회고도 남겨주세요.
3.
서로의 액션에 적극적으로 리액션 해주세요!
1.
많이, 친밀하게 잡담
솔직한 자기PR하기
취미공유
2.
모든 시간 약속을 잘 지키자(7시 41분은 7시 40분이 아니다.)
3.
솔직하게 말하되 동료를 존중하자(소통과 동료애 느낌)
듣는 사람도, 말하는 사람도 서로에게 공격적인 감정이 없다는 걸 서로가 잘 이해하기
공격적인 것 같다면? 솔직하게 다시 말하자
확실한 설득
4.
정답은 없으니까 분위기에 설득되지 않고 자신있게 말하자(소신발언)
0.
“소신발언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