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일시: 2월 9일 오후8시, 1시간 가량
개발 진행 상황
시연하는것을 봤는데 개발은 80퍼 이상 진행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됐었는데요 안됐습니다.’ 경우가 간간히 보여서 어느정도 손볼게 있어보이네요.
’실시간 랜덤 매칭’ 개발이 남은 것 같네요.
현재 어려운점
질문
SSE를 사용하면 서버에 트래픽이 몰려 서버가 터질 수 있다고 하는데 정확히 이해를 잘 못하겠습니다.
해결 방안으로는 메시지 큐가 있다고 하는데 결국 메시지 큐도 트레픽이 쌓이면 서버가 터질텐데 어떻게 대안이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sse를 사용하든 웹소켓을 사용하든 트래픽이 몰려 서버가 터질 수 있습니다.
만약 서버가 비동기 통신을 한다면 이런 상황에선 데이터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걸 막아주는게 메시지 큐입니다. 이 메시지 큐조차 터진다면 문제겠지만 또 그 상황에 맞는 대처법을 구상하면 됩니다.(그런 순간이 오면 좋겠네요 허허)
대처 방법으로는 하드웨어 성능을 높이는 수직 확장, 서버 대수를 늘리는 수평 확장, 분산 서버를 구성 한다든지 그리고 메시지 큐를 구독하며 중복처리 역할을 하는 어뷰징 디택트 서버를 둔다던지 등 등이 있습니다.
질문
면접때 직접 구현하지 않은 부분도 질문을 집요하게 하는지?
한다면 깊게 공부해야 할지?
답변
우선 포폴에 어떻게 쓰셨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혼자 다 했다고 쓰시면 그만큼 답변 하셔야 되는거구요.
지원 파트별로도 주제에 따라 질문 깊이가 달라질 수 있구요.
하지만 참여했던 프로젝트라면 전체적으로 깊게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는 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
질문
refresh token과 access token 모두 쿠키로 client에게 보내려고 하는데,
ssl을 설치해서 https로 만들어주는 과정이 필수적인가요?
답변
넵, 필수입니다.
더군다나 쿠키 사용하신다면 same-site 옵션을 none을 하고싶으시다면 secure옵션이 강제 되기 때문에 사용하셔야합니다. 쉽게 ssl 인증서 받는 방법은 다들 도커 사용하시니 docker certbot 사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