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27] 피드백
•
날짜/ 피드백 시각
2022.09.27 16:00
•
참여인원
전원 참석
•
피드백 사항
1.
강동연 : 다형성의 참조변수의 형변환에 대한 이해가 잘 안되었는데, 상속관계인 참조변수만이 형변환이 가능하고, 자손에서 조상타입으로의 형변환은 생략이 가능하고, 조상타입에서 자손타입으로의 형변환은 강제 형변환으로 명시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참조변수들이 가리키는 인스턴스 개수를 통해 이해할 수 있었다.
2.
김민지 : 다형성에서 참조변수의 형변환이 생략 가능해도 되는 경우와 생략이 불가능한 경우가 헷갈렸다. 이경우 조상 타입에서 자손 타입으로 변환하는 경우는 기능이 더 추가되기 때문에 생략이 불가능하고 자손 타입에서 조상타입으로 변환하는 경우는 기능이 줄어들이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고 이해하면 된다.
3.
다형성에 대해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참조변수(리모컨)-멤버변수(Tv가 가지고 있는 기능)으로 바꾸어 생각하니 이해가 잘 되었다. 객체지향이란 현실을 기반으로 만든 개념이므로 앞으로 이렇게 치환하여 생각해볼만한 것 같다.
4.
변흥섭:Tv t = new SmartTV();
에서 t는 부모 TV클래스를 가르키고 자식 SmartTV가 객체로 메모리에 올라왔기 때문에
TV클래스의 메서드나 변수를 읽을 수 있지만 객체는 SmartTV때문에 SmartTV가
TV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했다면 SmartTV 메서드로 읽히는건가요 ? 제설명이 맞나요?
→ 네! 맞는거 같습니다!
5.
손세열 : 상속이 어렵다고 느꼈는데 중복되는 코드를 줄이기 위해서, 존재하는 클래스의 필드와 메소드를 재사용 할 수 있다라는 상속을 사용하는 이유와 기능을 다시금 확인하고 그 예시코드를 보니 상속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6.
메소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를 표와 예시를 통해 보니 확실히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고, 다형성 관련해서 참조변수의 형변환이 헷갈렸는데 이 부분 역시 예시 소스코드를 보며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