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요약
•
보기 좋은 디자인은 인간의 뇌에 긍정적 반응을 일으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성이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
제품이나 서비스의 디자인이 보기 좋으면, 사용자는 사소한 사용성 문제에 비교적 관대해진다.
•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디자인은 사용성 문제를 가리고 사용성 테스트 중에 문제가 드러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개요
심미적 사용성 효과 aesthetic-usability effect
기원
•
1995년, 히타치 디자인 센터 (쿠로스 마사아키, 카시무라 카오리)
◦
내재된 사용성 inherent usability, 외형적 사용성 apparent usability
현금자동입출금기 (ATM)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패턴 26가지
•
2000년, 노엄 트랙틴스키
◦
‘아름다운 것이 사용하기 좋다.’ What Beautiful is Usable’
자동 인지 처리
automatic cognitive processing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 부지불식 간에 자동으로 진행되는 사고방식
처음 접한 웹사이트에 관한 의견을 형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0밀리초 이내,
이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은 시각적 매력
사례
•
Braun
◦
Dieter Rams, 기능적 미니멀리즘 & 시각적 아름다움
◦
less but better
Braun SK4 Record-player
•
Apple
◦
브라운의 디자인 철학 계승
◦
우아하며 사용하기 편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
디자인 회복 탄력성
사용성 테스트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자 Andreas Sonderegger, Juergen Sauer
심미성이 사용성 테스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테스트 진행
“임무 수행 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매력적인 모델을 쓸 때 작업이 드는 시간이 더 짧아진다.
정리
보기 좋은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성 문제가 가려지지 않도록 주의
적합한지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