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멘토님과 커피챗 내용
1.
현재는 “우선 기능만 돌아가게 작업하자!”를 목표로 진행 중이고, 추후 세분화된 컴포넌트 분리, 코드 리팩토링을 하려고 하는데 잘 하고 있는 방법인지?
→ 팀마다 작업 방법이 모두 다름, 처음부터 탄탄하게 다지면서 하는 팀이 있는가 하면 우선 돌아가게 작업한 후 추후 리팩토링을 계획하는 팀도 있음. 둘 다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함.
2.
코드 리팩토링할 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
→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돌아가게 할 것인지 중점적으로 고려
→ 변수명은 그 이후 문제라고 생각함
→ 기본적인 기능 모두 구현한 후에 나중에 시도해 보고 싶은 기능들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
→ 컴포넌트 분리하기
3.
트러블 슈팅 지금 작성해도 늦지 않은지? 어떻게 작성하는 게 좋은지?
•
지금부터 작성해도 늦지 않았음
•
트러블 슈팅 3~4개 정도 작성하면 적당하다고 생각함
•
트러블 슈팅 기록은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증거
→ “ㅁㅁㅁ문제를 해결하기위해 ㅁㅁ한 방법을 사용”
위 형식을 ”ㅁㅁ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보유” 형식의 스펙으로 변경 가능함을 알려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