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

스프린트 회고 2022.09.19

내게 배움이 있었나요? 있었다면 어떤 배움이 있었나요? 만약 없었다면 왜 없었을까요?

1. 교육 과정 시작하고 1주일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9:20

2. 전체 교육 과정을 마무리 했을 때 나는 어떤 상태이면 만족스러울까?

- 내가 생각하는 앱스쿨 과정을 마무리했을 때 성장하고 싶은 목표 3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했지만 불족만스러운 경우 2가지 -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이름
Ex.
목표1
매일 꾸준히 학습한 과정을 블로그 기록과 깃 잔디로 1일 1커밋을 남기고 싶다
목표2
표3
해당 목표를 달성했지만 불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 횟수만 채우는 경우 - 내용이 부실하면 불만족할 것 같습니다 - 글의 퀄리티가 낮을때 - 커밋에 집착해서 내용이 의미없는 경우 - 잔디를 위한 커밋일 경우 - 기록을 했지만 복습이 되지 않거나 단순한 보여지기식 기록으로 남겨졌을 때 - 기계적인 학습일지가 되는것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2가지
- 뺵뺵한 잔디밭을 실제로 보고 있을때의 만족감..? - 글 하나하나의 퀄리티가 좋을때 내용이 충실 - 배운것들을 블로그만 보고도 복습할 수 있다 - 내가 쓴 글이 찾아보기에 도움이 될때 -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전에 작성한 글을 토대로 바로 문제를 해결할 때 - 내가 작성한 글이 다른 사람이나 나에게 도움이 되었을 때 - 내가 쓴 블로그글을 누군가 보고 도움이 되었을 때 - 나의 실천결과가 다른 사람의 동기부여가 되었을 때
역량과 목표의 재설정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해보기)
- 나에게 의미있는 블로그 기록 남기기 - 내가 구체적으로 하고 싶은게 뭔지 명확하게 재설정 ex) 글 수가 많은걸 원하는지, 내용이 충실한걸 원하는지 - 블로그 글과 깃만 봐도 학습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블로그, 깃 만들기 - 매일일 기록으로 남길만한 성장 및 학습을 하기 - 과거 경험을 토대로 본인의 역량 및 한계를 확인하고, 만족할 수 있는 목표를 재 설정 1주일에 1번 이상 나에게 의미 있었던 커밋 기록 2~3개에 대한 포스팅을 학습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올리기 ⇒ 기록보다는 ‘학습’에 더욱 초첨을 맞추게 되어 나만의 학습 방법을 알게 만들었다
상호
시현
정우
광현
태영
예린
다영
두영

3. 피드백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피드백 받기

3-1. 어떻게 하면 해당 목표를 달성해 나가고 있는지를 우리가 알 수 있고, 의미있는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을까?

회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회고 전에 미리 주제를 작성해두어서 팀원들이 피드백을 고민할 시간 확보해주기
늦어도 일요일 저녁 6시까지 작성!
회고 주제는 각자 본인이 자유롭게 (피드백 받고 싶은 주제로!) 작성하기
회고 시간에는 한 명씩 작성 내용에 대해서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하고, 본인이 어려웠거나 (칭찬받고 싶은점도 ㅎ) 고민되었던 부분 설명하고 피드백 들어보기

3-2. 피드백을 주고 받을 팀만의 계획 세워보고 실천하기

ex) 회고하는 빈도수, 아침에 수업 시작하기 20분전에 만난다 - 시간, 디스코드, 노션, 카카오톡 그룹채팅
시간이 남는다면 남은 시간 동안 작성한 행동 계획 바로 해보기
주기
매주 1회, 저녁 6시
회고 시간은 30분 ~ 1시간으로 예상되나, 첫 회고 때 소요시간 파악하여 반영하기!
2회의 회고로 1시간을 적정시간으로
월요일
플랫폼
노션!
실시간으로도 의견을 나누지만, 수시로 질문과 의견 남기는 용도로도 활용
회고 시에는 디스코드 회의실에서 진행 (가능하신 분들은 카메라도!)
필요한 요소
스케줄러
회고 주제 남기는 공간
Q&A
회고록
자료 공유

3-3. 메이커준에게 피드백 받고 싶은 부분을 각 조별로 1개를 정리해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