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을 사용할 때 운영체제로부터 부여받은 접근 권한을 무엇이라 하는가?
→ 파일 디스크립터 (파일 기술자)
사용자가 직접 파일 관리를 하게 되면, 다른 사용자의 파일을 훼손하거나 저장장치 내부를 더럽히는 등 문제 유발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요즘의 운영체제는 파일관리자를 두어 저장장치의 전체 관리를 맡기며 이를 파일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런 파일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파일에 접근하려면 파일 관리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권한 ( 파일 디스크립터 )을 우선적으로 받아야한다.
파일 구조 file structure
2.
파일 구조 중 처음부터 순서대로 접근하는 구조는 무엇인가?
→ 순차 파일 구조 sequential
3.
파일 구조 중 순차 접근과 직접 접근이 모두 가능한 구조는 무엇인가?
→ 인덱스 파일 구조 index, 색인 순차 파일 구조
4.
저장하려는 데이터의 특정 값에 어떤 관계를 정의하여 물리적인 주소로 바로 변환하는 파일 구조는 무엇인가?
→ 직접 파일 구조 direct , 색인 순차 파일 구조
5.
직접 파일 구조에서 데이터의 변환에 사용하는 함수는 무엇인가?
→ 해시함수
순차 | 색인 순차 | 직접 파일 | |
특징 | - 시스템 콜이 발생하면 파일 디스크립터가 계속 전진하며 순차 접근만 가능
- 특정 위치로 스크립터를 옮길 수 있음 lseek() | - 파일을 저장할 때는 순차 파일 구조, 접근할 땐 인덱스 테이블을 보고 직접 접근
- 각 순차 파일의 시작점에 블록 번호를 매김
- 인덱스 구성 방법에 따라 데이터의 접근 속도가 달라짐 | - 데이터의 특정 값에 어떤관계(해시함수)를 정의하여 물리적인 주소로 바로 변환 |
장점 | - data가 순서대로 저장되므로 저장 공간에 낭비가 없음
- 순서대로 data를 읽을 땐 매우 빠름 | - 인덱스 테이블을 여러개 만들면 다양한 접근 가능 : DB 같은 빠른 접근이 필요한 시스템에 사용 | - 데이터 접근이 빠름 |
단점 | - data를 변경시 소요시간이 많음
- 데이터 검색에 효율 낮음 | - 전체 데이터가 고르게 저장될 수 있는 해시함수를 잘 고려해야 함
- 저장 공간 낭비 이슈 : 해시함수에 따라 데이터가 고르지 않게 저장되기 때문 |
경로
6.
파일이 전체 디렉터리 가운데 어느 위치에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는 무엇인가?
→ 경로
7.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정하는 경로 /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정하는 경로를 각각 무엇이라 하는가?
→ 절대경로 / 상대경로
•
절대경로는 / 로 시작하며 root 디렉터리 기준으로 경로를 표현한다.
•
상대경로는 자신이 위치한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user/exm.docs 표현하며 문자로 시작한다.
◦
. : 자기 자신의 디렉터리 파일을 의미
◦
.. : 현재 디렉터리에서 상위 디렉터리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