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컴퓨터에서 클록이 하는 역할을 설명하시오
•
클록(clock)은 CPU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
클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틱을 만들면 거기에 맞추어 CPU안의 모든 구성 부품이 작업을 한다
•
클록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헤르츠인데 1초에 클록틱이 몇 번 발생하는지를 나타낸다
eg) CPU의 사양이 인텔코어 i7( 4코어, 3.4 GHz, 캐시 4MB)
1초에 클록틱이 34억번의 작업을 할 수있다는 뜻이다
•
일반적으로 클럭 속도가 높을수록 CPU 속도가 빠르다
과거에 CPU의 성능을 높이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클록을 속도를 올리는 것이었지만 클럭이 높아질수록 발열량과 소비 전력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의 기술로는 5GHz 가 넘는 CPU를 개발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클럭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대신, ‘멀티 코어’나 ‘멀티 스레드’ 같은 방식으로 CPU 성능을 높인다.
오버 클록
◦
작동속도를 설계된 속도보다 더 빠르게 작동하도록 강제적으로 조정하는 것
◦
단점: CPU가 더 빨리 실행될수록 더 많은 열이 발생해서 CPU의 수명이 짧아진다
2.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 (코드의 행 번호, 메모리 주소) 를 가리킨다.
•
명령어가 실행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3. 제어 버스, 주소버스, 데이터 버스에 대해 설명하시오
•
버스는 CPU와 메모리, 주변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1.
제어 버스
•
다음에 어떤 작업을 할지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
메모리와 주변 장치에서도 작업이 완료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cpu로 제어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양방향이다
2. 주소 버스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와 연결
•
메모리나 주변 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보내기 위해 사용
•
주소 버스는 cpu에서 메모리나 주변장치로 주소를 전달만 하기 때문에 단방향 버스이다
3.
데이터 버스
•
주소 버스가 위치 정보를 전달하면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이동시킨다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와 연결
•
양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