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페이지 테이블 매핑 방식 중, 모든 페이지 테이블을 스왑 영역에 저장하고 페이지 테이블을 일정한 집합 단위로 물리 메모리에 보관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 집합 - 연관매핑 set-associative mapping
•
연관매핑을 개선한 방식이다.
◦
연관 매핑에서는 모든 TLB를 검색하고 나서야 miss를 인식함으로 성능이 떨어진다.
◦
이를 스왑영역에 있는지, 현재 메모리에 있는지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디렉터리 테이블을 만듬으로써 개선
•
디렉터리 테이블
◦
페이지 테이블을 같은 크기의 여러 묶음으로 나누고, 그 각 묶음의 시작주소를 가진 테이블
◦
디렉토리화로 인해 페이지 테이블이 한번 더 나뉘므로 두 단계를 거쳐 물리 주소로 변환된다.
VA = <디렉터리 테이블에서의 위치정보, 묶음 내에서의 위치정보, D >
◦
디렉터 페이지 테이블의 시작 주소는 페이지 테이블 기준 레지스터가 가짐.
◦
디렉터리 테이블에서 I (invild) 라고 되어 있으면 묶음은 스왑영역에 있는것이며 TLB 미스가 발생한 것
•
장점
◦
연관매핑에 비해 디렉토리화로 검색 효율 증가
◦
직접 매핑에 비해 일부 페이지 테이블만 메모리에서 관리하여 메모리 낭비 감소
11.
페이지 테이블 매핑 방식 중, 물리 메모리의 프레임 번호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 역 매핑 invert mapping
•
가상주소의 페이지가 아닌 프레임 번호를 기준으로 한 테이블
즉, 물리 메모리가 어떤 프로세스의 어떤 페이지를 가지고 있는지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한다.
•
페이지 테이블의 행 수는 실제 프레임 수와 같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수와 상관 없이 항상 일정 크기의 페이지 테이블을 유지하여 테이블 크기가 매우 작다
•
하지만 역매핑은 연관매핑과 마찬가지로 페이지 테이블을 다 검사한 후에야 저장장치에 접근해서 성능이 다소 떨어진다.
12.
연관 매핑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의 이름은 무엇인가?
→ 변환 색인 버퍼 Transaction Look-aside Buffer ( TLB )
연관 레지스터
13.
연관 매핑에서 원하는 데이터가 변환 색인 버퍼에 없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 TLB 미스
연관매핑은 전체 페이지 테이블을 스왑 영역에 두고 일부만을 물리 메모리에 랜덤으로 가져온다.
그 랜덤으로 가져오는 일부분의 테이블을 변환 색인 버퍼 라고 하며
관리자는 해당 메모리에 접근하기 위해 먼저 변환 색인 버퍼를 찾음.
•
TLB 히트: 원하는 페이지 번호가 변환 색이 버퍼에 있는 경우로, 곧바로 물리 주소로 변환
•
TLB 미스: 원하는 페이지가 변환 색인 버퍼에 없는 경우로, 스왑 영역에 저장된 직접 매핑 테이블을 사용함
해당 단원 면접 질문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