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예전 딥다이브 스터디 퀴즈

9장

‘타입변환’이란 기존 원시값을 직접 변경하는 것이다.(O/X)
falsy값
// 전달받은 인수가 falsy 값이면 true, truthy값이면 false 반환 function isFalsy(v){ return !v; } // 전달받은 인수가 truthy값이면 true,falsy 값이면 false 반환 function isTruthy(v){ return !!v; } isFalsy('') // ? isTruthy('0') // ? isTruthy({}) //? isFalsy(undefined) //?
JavaScript
복사
단축평가
true || anything //? true false || anything //? anything true && anything //? anything false && anything //? false
JavaScript
복사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와 단축평가의 차이

10장

ES6에서 도입된 프로퍼티 축약 표현
1.
변수 이름과 프로퍼티 키가 동일할 때 프로퍼티키를 “생략”할 수 있다.
let x = 1, y=2; const obj = {x,y}; console.log(obj) // {x:1,y:2}
JavaScript
복사
2.
메서드를 정의할 때 function 키워드를 생략한 축약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const obj = { name:'Lee', sayHi(){ console.log("Hi"+this.name) } }
JavaScript
복사

11장

불변성이란?
값의 의한 전달은 값을 전달하는 것이다.(O/X)

12장

함수 정의 방법을 모두 나열해주세요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일급객체
함수형 프로그래밍

13장

스코프

함수

14장

전역 변수의 문제점
var의 사용을 지양해야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