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눌 이야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실과 오해
프로젝트에 대한 경험 돌아보기 (~9:30)
이전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나에게 생긴 통찰이나 교훈은 몇점인가요? 점수와 그 이유에 대해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1.
전혀 없었다
2.
별로 없었다
3.
애매하다
4.
크진 않더라도 있었다
5.
중요한 통찰이 확실히 있었다.
이름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나에게 생긴 통찰이나 교훈에 대해 점수를 매겨보고 그 이유를 함께 작성해보기 |
김예원 | - 점수 : 4
- 이유 :
1. 설계과정이 생략되거나 기획단계 이후 설계부분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화면설계 또는 기능 설계가 명확하지 않으니 프로젝트 개발을 하면서 서로에게 계속 되물어가면서 개발하는 경험을 하게되었고 이 때문에 프로젝트를 시간 내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어렵지 않았나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2. 프로젝트에 대해 각자 지향하는 방향이 다르고 그 속에서 모두의 의견을 충족시키기는 어렵다는 점 |
박성민 | - 4
1. git convention / issue numbers 등 사용을 통한 협업 방법
2. 계획을 하는 시간을 충분히 갖지만 언제든 예상치 못한 문제를 마주할 수 있다는 점
3. 사람들의 생각은 다 다르다는 점
4. 중간 점검의 중요성 |
박진형 | - 4
-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얻은 것은 많지만 성공적인 리딩을 통해 좋은 결과를 아직 내보지는 못 해서. 아직 정해진 기간 내에 얼만큼 많은 일을 할 수 있는지에 판단이 서지 않는다.
- 기획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깨달은 점이 많다. 처음에 조금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결국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노력해야함을 알았다. (이전에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기획은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 |
이석준 | - 점수 : 5
- 이유 :
1. 구조체 명 중복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등, 서로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가 발목을 크게 잡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하는 바와 상대방이 이해하는 바는 항상 다르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과도할 정도로, 이해하기 쉽게, 음성수단 뿐 만아니라 시각적인 수단으로도 소통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2. 기획 단계에서 성급해 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충분한 시간을 갖고 기획을 진행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기획이 엉성해서 팀원 내부에서 기획에 대한 이해가 달라 오해가 생기면 그것을 수습하는 데서 발생하는 시간소요가 더 크다. |
이승준 | - 점수 : 5
- 이유 : 기획 시간을 길게 가져가야 하는 필수적인 이유가 있음을 몸으로 깨달음
1. 화면과 데이터 흐름을 사전에 모든 조원이 이해하고 있지 않으면 개발이 진행되면서 방향을 잃는다.
2. 기획 시간은 떠드는 시간이 아니라 무엇을 각자하고 무엇을 함께할지 정해야 하는 시간
3. 그리고.. 일류 고수도 기한 안에 어디까지 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없다. 특히, 팀원들이 섞이고 섞인 곳에서는.. // 애초에 첫 출시 전까지 MVP로 진행하는 이유는 이게 아닐까?
4. 기록해두지 않으면 각자 이해한 거 서로 다르게 가져가서 기획과 다른 결과물이 나온다. 이거 정말 큰일난다.
5. 서버와 클라이언트 담당은 서로 소통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론 처음부터 모두가 서버 로직을 알고 있고, 그걸 “어떻게 클라이언트에 뿌릴지 사전에 이야기가 되어 있는 상황”이 좋다고 생각한다.
6. 사전에 논의되지 않은 시나리오가 개발 도중에 “이거 어때요?” 식으로 나오는 거.. 싫지는 않은데 머리가 복잡해진다… 그래서 언제 해요 그거..? 심지어 정해지지 않았는데 멋대로 “아 이거 하겠지?ㅎ” 하면서 화면에 추가라도 해버리면.. 빼라고도 못하고…ㅎ,,.,;,, 진땀만 흘린다.. |
이원형 | - 점수: 4.x
-이유: 1. 사공 많으면 배 침몰함.
2. 기반이 다져지지 않으면 무너짐(기획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함)
3. Front와 Back은 상시 얘기해야한다.(따로 놀면 나중에 시간 소비가 너무 많음, 데이 터 구조는 바뀔 수 있음)
4. Front와 Back은 서로의 코드를 이해하고 적용시킬 줄 알아야함
5. 협업 코딩에 있어서 사용자 시나리오에 맞게 우선순위도 선정을 잘 해야함
6. Git 협업시 규약 잘 따르며 코드에 대한 제약을 지켜야 함(꼬이면 시간 날라가는 거 한순간)
7. 말 뱉기 좋은 환경 서로가 만들기(그냥 뱉는 말이 곧 아이디어가 되는 순간이 있음)
8. 문제는 언제든지 맞닥드린다. 문제해결에 사용하는 시간을 아까워 하지 말자하 |
전혜성 | - 점수 : 4
- 이유 :
1 .개발 도중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는 일이 발생했었다.
2.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획단계에서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야 하는 걸 느꼈다.
3. 내가 작성한 코드를 다른 사람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주석을 달아주는 습관을 들이자고 다짐했다. |
조형구 | - 점수: 5
- 이유: 협업 함에 있어서 모두의 적극적인 의견 제시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고 꼼꼼 한 사전 기획을 위해 쓰는 시간들을 아까워 하지 말아야 한다는것을 뼈져리게 느꼇다. 꼼꼼하게 기획하지 않은 부분 때문에 오히려 두배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았고 기획 외에도 합께 협업을 함에 있어서 스타일 가이드와 같이 합의를 보고 시작하면 좋을 지점들을 느끼게 되었고 진행도와 마감 시간에 맞춰 우리가 할 수있는 일들을 선별하는 능력을 기르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