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메모리 가져오기 정책 중, 사용자가 요구할 때 해당 페이지를 메모리로 가져오는 방식은 무엇인가?
2. 요구 페이징과 반대로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페이지를 미리 가져오는 방식은 무엇인가?
프로세스 실행 시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모듈 전부를 물리 메모리에 적재하지 않는다.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듈만 적재하는 방법을 요구 페이징 이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페이지를 미리 가져오는 방식은 미리 가져오기 방식이라고 한다.
미리 가져오기 방식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미리 가져온 데이터가 쓸모없을 경우 피해가 크다.
3.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의 구조 중,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나타내는 비트는 무엇인가?
4.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의 구조 중,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사용한 적이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는 무엇인가?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PTE) : 페이지 테이블의 한 행
•
구성 : 페이지 번호, 플래그 비트, 프레임 번호
1.
페이지 번호
2.
프레임 번호(주소 필드)
1) 가상 주소의 해당 페이지가 어느 프레임에 있는지 알려주는 번호
2) 프레임 번호를 이용하여 가상 주소 → 물리 주소 변환
3.
플래그 비트
1) PTE 가운데 위치
2) 접근 비트, 변경 비트, 유효 비트, 읽기 비트, 쓰기 비트, 실행 비트 등을 모아놓은 비트
•
접근 비트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사용한 적이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
읽기 or 실행 작업 진행했다면 접근 비트 1
•
변경 비트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데이터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려주는 비트
쓰기 or 추가 작업 진행했다면 변경 비트 1
•
유효 비트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
페이지가 물리 메모리 or 스왑 영역에 있는지를 알려줌
•
읽기, 쓰기, 실행 비트
해당 권한이 없는 프로세스가 작업을 진행하려고 할 때 접근 차단시켜주는 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