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07/21 17:10 - 18:00

참여 인원

김강민, 박정원, 오현직, 임채민, 허경주

피드백 사항 -

1.
박정원
느낀점
스프링만 구현해보았었는데 서블릿으로 구현해보고 스프링의 편리한 점을 더 느낄 수 있었다.
서블릿의 동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더 자세한 공부 필요)
계획(주말)
디자인 패턴에 대한 공부(팩토리, 옵저버)
서블릿 진도 나간데까지 혼자 구현해보기 + 정리
2.
허경주
a.
주말 계획
밀린 필수 영상 보기
디자인 패턴에 대한 정리 끝내기
servlet 프로젝트 영상 보면서 다시 구현하기
b.
느낀 점
갑자기 servlet, jsp, tomcat, apache 등의 새로운 것들이 쏟아지는 한 주였다. 아직 정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쉬는 시간 동안 해결할 것이다.
디자인 패턴을 이전에 배운 경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익숙하게 적용할 수 있을 때까지 써본 적이 없기 때문인지 수업 시간에 바로바로 따라가기 어려웠다. 이론적으로 다가갈 것이 아니라, 이 패턴이 어떤 상황에 적용되면 좋을지 고민해보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올바르게 사용해보고 싶다.
3.
오현직
a.
현재 진행사항
디자인 패턴에 대해 이론적 이해는 가도, 실제 코드로 녹이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음
기존에 게시판 관련 토이프로젝트 했던것과 다르게, dispatchServlet 부터 구현 하는 과정은 처음이여서 이해하면서 공부하려다 보니, 강의를 놓치는 부분이 다수 있음
강사님 Git 프로젝트를 보고 공부하면,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었음
b.
앞으로 보완해 나갈 점
필수영상 - 27. 객체지향 디자인패턴 1 , 필수영상 - 28. 객체지향 디자인패턴 2 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 하면서 디자인 패턴 익히기
강사님 Git 코드 보면서 웹프로그래밍 확장 해 나가기
1.
김강민
느낀점 : 이번 주는 회고를 성실하게 작성하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주말에 강의 영상들을 다시 보며 배웠던 내용들을 정리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점점 예제를 시간 내에 못풀거나 에러가 뜨는 경우가 많아서 기본기가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추가적으로 앞서 배웠던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임채민
이번 주 수업 내용인 제너릭, 해쉬맵, 예외처리와 같은 처음 보는 내용을 수업 시간에 이론보단 예제 푸는 데 중점을 두신 거 같아서 해탈하게 보기만 했던 거 같습니다. 수업 끝나고 별도 강의로 이론부터 공부한 다음, 예제를 풀어야 했던 게 좀 벅찼었고 다시 한 번 주말에 예제들을 풀어봐야 될 거 같습니다.
게시판 만들기는 서블릿이나 jsp의 개념 자체를 모른 채 수업이 시작돼서 남은 주말 동안 필수 영상으로 개념을 다잡고.. 넋 놓고 봐서 놓쳤던 코드들을 하나하나씩 뜯어보면서 흐름을 이해해야 될 거 같습니다. 빡센 한 주 모두들 고생하셨어요 ㅠㅅㅠ

토론

아이디어톤 주제에 대하여 어떤 아이디어가 현실적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실용성이 있을 지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주고 받았다.
대부분의 팀원들이 생각하기에, 현재 하고 있는 백엔드 스쿨의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나 개인적인 학습에 필요한 기능 구현이 실용성이 있으며 구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구현하기 어려워 보이는 아이디어들은 주로 웹으로 구현이 적합하지 않거나, 짧은 기간 내에 완성하기 어려운 기술(ex. AI, ML, …)이 포함 된 경우였다.

회고 - 느낀 점

일단 다같이 모여서 회고를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없는 상황이 아쉽다.
하지만 회고 시간에 개인적인 프로젝트의 경험이나 실무에서의 경험, 알고리즘이나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존 지식을 통해 서로에게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고, 궁금한 점을 해결해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팀내 회고 시간을 잘 보내고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