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눌 이야기
학습 전략 개선 방법: 공부할 게 너무 많다. 이럴 때 어떻게 학습 전략을 짜는 게 좋을까?
의미 있었던 지점, 경험, 기억 2~3가지를 작성해볼게요.
이때 학습 전략 개선 방법과 관련된 기억을 적어주면 더 좋을것 같아요
이름 | 지난 스프린트 이후로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학습 전략, 아쉬웠던 전략 등 관련한 경험 |
추현호 | 의미 있었던 점 : 배운거를 최대한 활용하여, 안 배운 것도 최대한 활용하여 목적에 달성한 점
아쉬웠던 점 : 당연히 찾아보면서 하는거지만서도 배웠던거를 복기해도 체화되지 않았던 점 |
김민호 | 배웠던거 정리를 안해놔서 파일 뒤적뒤적거리느라 시간 낭비를 했다
문제해결에 지속적인 기록을 통해 해결방법을 메모장에 작성하며 똑같은 실수를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
정세훈 | 1. 학습 우선 순위를 정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알고리즘 스터디와 개인학습을 병행하다보니,
하나에 몰두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했다.
2.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많은 문제들을 겪었다. 이를 통해, 학습한 지식들을 문서화하여
같은 문제 발생 시, 빠르게 참고하면 효율적인 진행이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염성필 | 1. 애매하게 알고있었던 데이터 불러오는 방법과 활용하는 방법을 천천히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2. 화면 구성하는 것이 쉬울 줄 알았는데 하면 할수록 더 어렵게 느껴진다 ( 세상 쉬운거 하나 없다… ㅠ)
⇒ 개선 방법 : 많이 만들어 보고 복습을 해봐야될 거같다. 시간을 많이 투자해야 성과가 나온다는 것을 잊지 말기 — 점진적 과부화!! |
정소희 | |
김태형 | 1. 여지껏 수업 시간에 배운 것을 복습 위주로 공부했지만, 부족하게 느껴졌던 부분을 공식 문서를 통해 채우는 경험을 했다.
2. 공부를 할 때 불안한 이유를 찾고 마인드셋을 하기 위한 노력을 해보았고, 짧지만 이를 극복하는 경험을 했다. → 배움의 두려움은 결국 막막함으로 시작 됐다. 하나씩 배워가기 |
김영서 | |
이름 | 학습 경험 되돌아보고 키워드를 뽑아보기 |
추현호 | 1. 의미有: 프랑스인들과 대화를 하면서 공부하기로 함. 의미無: 전공서적과 책만 보며 프랑스어를 공부
2. 의미有: 실제로 만들고 싶은 것이 생겨 무작정 찾아가면서 만들어봄. 의미無: 처음 프로그래밍을 해보고싶다는 생각에 의미 없이 UIKit 따라치고 내가 만든건 줄 암
3. 의미有: 투자공부 해보고싶다는 생각에 공부하면서 실제로 여러 분야에 나누어 투자해보았다.
의미無: 믿던 사람이 좋다고 한 것에 투자한 경험
키워드 : 재미, 능동성 |
김민호 | [의미有]
앨런강의를 수강하고 학부시절 이정도로 깊게 배워본 적이 없어서 새로운 경험이 되었다
이로 인해 코드를 복붙해도 이해를하고 복붙할 수 있게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필요한 기술들을 그제서야 공부하기 시작했더니 흥미를 느끼고 이해가 잘됨
해결을 위해 시도했던 노력 메모로 남겨놓기, 나중에 똑같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신속히 해결하였음
[의미無]
취업하려면 무조건 알아야 하는 줄 알고(rx,MVVM 등) 억지로 배웠음 → 흥미를 느끼지 못함
교수님한테 낚여서 머신러닝삽질 1년했을 때… 이때 ios햇으면 시니어됏을듯ㅋ
무조건적으로 코드를 외워서 치는 줄 알았음 미련하게 다 외워쳤음
알고리즘에 너무 치중해서 포트폴리오에 제출 할 프로젝트를 만들지 못한 지난1년의 과거가 있음
키워드: 흥미, 강박, 기록 |
정세훈 | [의미有]
1. 군대 싸지방에서, 유튜브로 C언어를 “몰입”해서 학습했다. 이때 실력이 많이 늘었음을 체감.
2. 재수했던 시절에, 꾸준한 학습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점진적 성장을 경험.
3. 삽질, 누군가 알려줘서 들어온 지식보다 이걸 반드시 해내겠다는 마음가짐으로 구글을 통해
세계여행을 하면서 지식을 습득한 경우, 개인적으로 큰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의미無]
1. 목적없는 학습. 한때 인공지능이 인기여서(물론 지금도) 따라서 강의들 들었던 적이 있다. 하지만,
흥미가 없어 얻어지는 지식 또한 미미했다.
2. 꾸준하지 못한 학습. 학습이 이어지지 않고, 들쭉날쭉 학습을 한 경우, 매번 같은 내용도 새롭고
계속해서 지식수준이 머물러 있다.
3. 주입식 교육. 언제나 학습은 흥미와 열의를 가진 능동적인 학습의 경우에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험을 보기위해 고등학생시절 달달외운 한국사 지식은 쉽게 휘발된다.
[키워드]
- 몰입 학습(학습 시간동안, 몰입한 시간이 진정한 학습)
- 꾸준한 학습
- 능동적 학습, (목적이 분명하고, 그 과정에서의 삽질) |
염성필 | - 도움이 됐던
1. 코테 LV.0 최대공약수와 최소 공배수 1시간 30분 투자 해서 풀었음
2. 기초만 알려주고 직접 해보기 ex) 가죽공방, 화면구성, 운동 - 경험 쌓기
3. ebs 최태성 선생님 “역사 위인들중 시험에만 나오는 인물만 있는 것이 아니다.” - 역사에 대해 국뽕을 받음
- 도움이 안됐던
1. 깜지
2. 맹목적으로 외우기
3. 다른 사람들이 듣는다고 따라서 강의 및 학원 다니기
- 차이 키워드
1. 얼마나 몰입해서 들었는가, 배우고자 하는 열정이 얼마나 간절했는가
2. 나에게 왜 필요한지 깨닥기
3. 내 의지대로 정하고 경험치를 쌓았는가 |
정소희 | |
김태형 | [의미有]
1. 학부 때 원서를 가지고 수업했던 공부했던 전공과목 (이유가 생각이 안남)
2. 앱스쿨에 들어와서 이론을 배우고 주어진 과제를 풀었을 때
3. 고등학생 때 다녔던 학원에서 배운 수학
[의미無]
1. 언어 모의고사를 주구장창 풀었을 떄
2.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했던 교수님의 강의
[차이를 만드는 키워드]
1. 능동적 학습
2. 좋은 멘토 (짬에서 나온 강의)
|
김영서 |
공감이 갔던 키워드
재미, 능동적 학습, 반복 숙달, 나에게 왜 필요한것인지 깨닫기, 같이 하기, 꾸준함, 좋은 멘토, 내가 모르는 부분을 정확하게 찾기, 완벽에 대한 집착 지양 ⇒ 이 코드를 그래서 내가 왜 작성하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