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2️⃣

연습문제 5~9

5. 페이지 테이블에서 각각의 한 줄을 무엇이라 하는가?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Page Table Entry, PTE)
access bit :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사용된적 잇는지 modified bit :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올라온 후 변경된 적 있는지 valid bit :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물리메모리에 있는지 0 , 스왑영역에 있는지 1) read, write, excute bit : 페이지에 대한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냄. 합쳐서 접근 권한 비트라고 한다.

페이징 기법에서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는 프레임 번호만 가진다.

페이지 테이블에 페이지 번호가 0부터 순서대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

6. 가상 주소를 <P, D>로 변환하는 공식을 쓰시오.

P = (가상 주소 / 한 페이지 크기)의 몫 D = (가상 주소 / 한 페이지 크기)의 나머지
한 페이지의 크기가 10B인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가상 주소 32번지
P = 3 , D = 2
한 페이지의 크기가 512B인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가상 주소 2049번지
P = 4 , D = 1

7. 각 페이지 테이블의 시작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는 무엇인가?

페이지 테이블 기준 레지스터(PTBR)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접근하려고 할 때 테이블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다.
다른 페이지 테이블을 사용하려면 단지 이 레지스터만 변화시키면 되기 때문에 문맥 교환시간을 줄일 수 있다.

8. 페이지 테이블 매핑 방식 중, 모든 테이블을 스왑 영역에 저장하고 그중 일부만 물리 메모리에 무작위로 가지고 있는 방식은 무엇인가?

연관 매핑
페이지 테이블 전체를 스왑 영역에서 관리
물리메모리의 여유 공간 이 작을 때 사용
스왑 영역-> 모든 페이지 테이블 저장물리 메모리-> 일부만 (페이지, 프레임 번호 둘다 표시)
메모리 절약
주소 변환 시, 물리 메모리의 페이지 테이블 다 검색없으면 스왑 영역 페이지 테이블 검색 (시간낭비 심함)
변환 색인 버퍼(TLB): 테이블의 일부를 무작위로 갖고 있음 -> 모든 TLB를 검색한 수에야 원하는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음을 알 수 있음

9. 페이지 테이블 매핑 방식 중, 모든 페이지 테이블을 물리 메모리에 보관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직접 매핑
페이지 테이블 전체가 운영체제 영역에 존재
부가 작업 없이 바로 주소 변환이 가능
주소 변환 속도가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