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협업 가이드

협업 가이드

1.
노션 페이지 내 할일 목록에서 맡을 일을 정한다.
2.
해당하는 업무에 대해 GitHub 이슈를 생성한다.
담당자 지정 필수 !!! → 담당자를 지정해야 브랜치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라벨, 마일스톤 설정하기
3.
해당하는 업무에 대해 생성된 브랜치를 로컬로 가져온다.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리스트를 확인
git branch -r
Bash
복사
로컬 저장소의 브랜치 리스트를 확인
git branch
Bash
복사
로컬, 원격 모든 저장소의 branch 리스트를 보려면
git branch -a
Bash
복사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가져와 이동
위의 상황에서 만약 원격 저장소의 feat/issue-3 branch를 가져오고 싶다면,
-t 옵션과 원격 저장소의 branch 이름을 입력하면 로컬의 동일한 이름의 branch를 생성하면서 해당 branch로 checkout을 한다.
git checkout -t origin/feat/issue-3
Bash
복사
만약 branch 이름을 변경하여 가져오고 싶다면
git checkout -b [생성할 branch 이름] [원격 저장소의 branch 이름]
Bash
복사
4.
해당하는 업무를 진행한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git pull을 습관화하자!!(업데이트 되지 않은 코드로 다른 작업을 시작하면 나중에 merge할 때 충돌이 발생한다.)
해당하는 노션 페이지에 그 업무를 하면서 어려웠던 점, 해결한 법 등을 메모하면 좋다!
5.
작업을 완료하면 작업한 브랜치에서(main브랜치 X) 코드를 푸시한다.
git add
git commit -m “종류: 한 일”
git push 한다.
6.
깃허브 레포지토리 페이지로 이동하면 푸시한 브랜치에 대해 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활성화된다.
PR(pull request)이 오픈되었다는 것을 공유하고, 푸시한 본인 외 다른 팀원이 코드를 확인하고 main 브랜치에 merge한다.
성준: 수현세민혜지
수현: 성준혜지세민
세민: 혜지수현 성준
혜지: 세민성준수현
7.
노션 페이지에서 완료한 할일을 Done 상태로 변경한다.

팀 규칙

불참해야 할 일 생길 때, 하루 전에는 말을 해주기
공부하다 모르는 내용 생기면 공유하고 서로 같이 고민하기
프로젝트 시작시 고려할 부분(출처: 윤철님)
팀원간 커뮤니케이션
의미없어보이는 의견도 꼭 제시하기
의견에 대한 의견(찬성, 반대)등은 의견에 대한 찬반이지 그 사람에 대한 찬반이 아니므로 너무 마음쓰지 않기 (꼭 이 의견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도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투표식으로 진행가능)
반대일 경우 아주 작은것이라도 의견을 갖고 말하기 (이렇게 하는건 어떨까요? 등등)
리액션을 잘하기
와~너무좋아요 이런것도 좋지만 넵!, 확인했습니다 등등 대답을 잘하는 것을 의미
당연하지만 서로 배려 존중
한사람만 말하거나 의견을 제시하는 분위기 피하기 => 본인이 살짝 부족하다 생각해도 개의치 않고 따라가려는 것 보다 능동적 참여
서로 모르는 것이나 애매한 것은 적극적 소통
더 추가될 내용 생각해보기
프로젝트 시작 (여기서부터는 팀원간 소통을 통해 진행)
프로젝트 진행 방식 결정 (스택 설정, 주제 선정, 페어프로그래밍 등등)
간단한 ui 그리기 ( 컴포넌트 쪼개기 용 )
관련 도메인 사이트 or 프로젝트 (레퍼런스) 탐색
우리 프로젝트에 추가할만한 기능 탐색
컨벤션 정하기 (깃 컨벤션, 폴더 구조 컨벤션, 파일명, 변수명 컨벤션)
eslint 같은 것도 고려, create react app이나 vite같은 프로젝트 생성 방법 고려
역할 분담하기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팁
왜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는지 생각
왜 이러한 코드를 작성했는지 (조금 신경써서 구현한 부분) 생각
항상 기록하기 => 에러 기록, 코드 기록, 그때그때의 생각 기록
개인적으로 진짜 반대를 하려는게 아니라 의문을 던지면서 한번더 생각보는 것을 좋아함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뭐지? => 이 대답에 답을 할 수 있어야 진짜 본인의 생각이고 본인이 알고 있는 것
혜진님 팁
기능별로, 페이지별로, 페어프로그램 방식으로, 한명의 PM을 두고 진행하는 방식으로.. 여러 방식이 있음
팀프로젝트는 연습이다. => 앞으로 사회생활에서 경험할 것을 미리 경험해보는 것 => 포기만 하지 말자(비교도 하지 말자)
처음 만나면 각자 자신의 소개를 솔직하게 하는 것을 추천한다. (나는 현재 를 할 수 있고 를 공부할 것이다.)
코드짜는것만 팀프로젝트의 전부가 아니다. 소프트 스킬, 팀 분위기 향상, 아이디어, 적극적 태도 등등 여러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점이 실제로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이다. (팀에 잘 녹아들 수 있는 사람)
좋은게 좋은거지~ 좋게 생각하며 긍정적 마인드 갖기
프로젝트 시작 팁
HTML, CSS, JS 진행 방식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정하기)
작업 나누기 => 기능, 페이지, 공통 UI로 나누기 (공통된 부분부터 )
컨벤션 맞추기 (어쳐피 지저분해진다.. 그래도 일단은 맞추자)
발표 자료, 영상 잘 남겨 놓기
누리님
프로젝트 기간이 길어지면 당연히 서로에게 할말이 생길 수 있다.
너무 직접적으로 강하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의견을 전달하며 조율하길 !
주간 회의 같을때 잘 조율하는것도 좋다.
사람마다 각자 사정이 있고 각자 좋은날 나쁜날등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누군가에게 친절하지 못하게 대하거나 그런 태도를 받았다면 최대한 이해해보기.. ㅎㅎ
나중에 다시 말해보자.
프로젝트를 꼭 고정하지말고 자유로운 아이디어가 있으면 꼭 제시하기
1기, 2기 레파지토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참고를 하다보면 그 레파지토리에 갇히는 경향이 있게된다. (맞는말인듯,.. )
너무 깊게 따라하지말자 참고만 !! => (중요)
프로젝트 시작 전에 참고하면 좋을 것 같은 내용 정리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