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호
이가현
서버에서 프로젝트 띄우기
1.
git에 push
2.
EC2의 보안그룹에 8080포트 오픈(application.yml에 서버로 등록되있는 포트)
3.
xshell에서 도커 설치
4.
설치하기 위해 관리자 권한 설정 sudo su -
5.
maven 설치 apt up date , apt install maven
6.
git clone [git repository 주소]
7.
루트로 이동 cd ~
8.
Dokerfile만들기
a.
vim Dockerfile
b.
i
c.
shift+ insert
FROM openjdk:11-jdk-slim
VOLUME /tmp
ADD /target/*.jar app.jar
ENTRYPOINT ["java","-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jar","/app.jar"]
Java
복사
d.
esc
e.
shift+zz
9.
원래 mvn package 입력 , 스킵하고 싶은 테스트가 있으면 mvn -DskipTests=true package
10.
도커 빌드 docker build -t [git repository name] . (.앞뒤로 띄어쓰기)
11.
docker images 와 docker ps 로 빌드 잘되었는지 확인
12.
docker run -p 8080:8080 [git repository name]
13.
환경변수 설정 docker run -p 8080:8080 -e SPRING_DATASOURCE_URL=jdbc:mysql://[aws인스턴스 DNS주소]/[데이터베이스 스키마명] -e SPRING_DATASOURCE_PASSWORD=[비번] [git repository name]
14.
스웨거 접속 [EC2 Public IPv4 DNS 주소]:8080/swagger-ui/
수정사항 반영하기
1.
수정사항을 git에 push
2.
git pull —> 수정사항이 내려옴
3.
mvn package
4.
docker build -t ~~
5.
docker run
임학준
조국현
최아영
알고리즘 실습
[프로그래머스] 소수 찾기
전국 병원정보 APi
HospitalController
Test
Optional
Java8에서는 Optional<T> 클래스를 사용해 NullPointerException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Optional<T>는 null이 올 수 있는 값을 감싸는 Wrapper 클래스로, 참조하더라도 NullPointerException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Optional 클래스는 아래와 같은 value에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값이 null이더라도 바로 NullPointerException가 발생하지 않으며, 클래스이기 때문에 각종 메소드를 제공해준다.
docker
1.
maven 설치하기
•
apt update
•
apt install maven
2.
root로 이동
•
cd ~
3.
clone
•
git clone [프로젝트]
4.
Dockerfile 생성
FROM openjdk:11-jdk-slim
VOLUME /tmp
ADD /target/*.jar app.jar
ENTRYPOINT ["java","-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jar","/app.jar"]
Plain Text
복사
5.
빌드하기
•
mvn -DskipTests=true package
•
docker build -t [프로젝트 명] .
※ 마침표 앞뒤 공백
6.
실행
•
docker run -p 8080:8080 [프로젝트명]
•
docker run -p 8080:8080 -e SPRING_DATASOURCE_URL=jdbc:mysql://[DB주소:3306/DB명] -e SPRING_DATASOURCE_PASSWORD=[DB비밀번호] [프로젝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