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리스트
•
프로토콜 많이 사용하나요? 추상클래스와 큰 차이 없어보였습니다.
◦
다른 언어의 추상 클래스
◦
Java 인터페이스
◦
Interface, protocol
•
주로 사용하는 깃 커밋 템플릿이 있나요?
◦
회사 혹은 팀마다 컨벤션이 다름. [Review] [BUG] 등 접두사 많이 붙였음.
•
실무에서는 깃을 어떤식으로 주로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
git-flow 전략 많이 사용.
◦
용도에 따라 조금 변경한다던지.
•
저 개인적으로 깃을 사용하며 미숙함을 많이 느낍니다. 특히 팀 프로젝트에서는 더욱 어려움을 느껴 멘토님이 한번더 짚고 넘어가주시면 어떤가 합니다. 한번씩 해보긴 했지만 브랜치 문제 대처법이라던가 pullrequest , merge 등의 작업시에는 어려움이 아직 있음. 또한 issue 작성법, action 활용법 key 값등의 사용법등이 궁금합니다.
◦
Git은 결국 생산성을 도와주는 툴인데 부담을 느끼면 안됨.
◦
그냥 많이 해보면서 익숙해지는게 가장 중요한듯.
◦
많이 해보고 익숙해져서 편해지는게 중요.
◦
GUI X CMD O → GUI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좋음. Fork, Sourcetree.
◦
PR이나 Issue도 조직마다 컨벤션이 있고 최소한의 정보만 있으면 괜찮다고 생각.
◦
Action은 CI/CD의 일종인데 이건 또 한 세상임.
•
playground 는 무엇인가? 이걸로도 개발하고 배포할수 있나요?
얼마나 차이가 나는건가요 Xcode 와는?
◦
아이패드용, 맥용이 있음.
◦
처음 개발할때 샘플 실행해보거나 할때 조금 썼음.
◦
실제로는 거의 안씀. 본인도 안 쓴지 오래됨.
추가 내용 진행 관련
•
종현님: 실질적인것 해보면 좋을것 같음.
•
정환님: 동의.
•
주영님: 과제 설렘.
•
명섭님: 질의응답 후 토이 프로젝트 좋을듯.
•
수빈님: 좋습니다.
스터디 주제
•
Swift 단골 심화 스터디: Closures, Struct, Class, Protocols, Generics 등
•
샘플 프로젝트 스터디: UIKit, SwiftUI로 특정 주제의 샘플 앱 작성하며 피드백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