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스프링, JdbcTemplate 적용

날짜
2022/10/24
작성자
전수진
카테고리
회고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k번째 수] 문제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1. 배열로 풀기

배열을 자르는 방법을 아는지
정렬을 할줄 아는지
특정 인덱스의 값을 뽑을 수 있는지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int[] answer = new int[commands.length]; for(int i = 0; i<commands.length; i++){ int[] temp = Arrays.copyOfRange(array, commands[i][0]-1, commands[i][1]); Arrays.sort(temp); answer[i] = temp[commands[i][2]-1]; } return answer; }
Java
복사

Java array from to

public class Kth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 5, 2, 6, 3, 7, 4}; int[] arr1 = Arrays.copyOfRange(arr, 2-1, 5); //2부터 5까지 해서 5,2,6,3 출력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1)); } }
Java
복사

2. 우선순위큐를 이용해서 풀기

배열을 잘라서 새로 만들면 메모리를 추가로 쓰게 되는데 배열을 만드는 것을 최소화 하면 메모미를 덜 쓴다.
PriorityQueue가 정렬을 해주기 때문에 Sort를 따로 쓰지 않아도 된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삭제하는 방법
public class KthNumPriorityQueue { public int[] solution(int[] arr, int[][] commands) { int[] answer = new int[commands.length]; for (int i = 0; i < commands.length; i++) { PriorityQueue<Integer> pq = new PriorityQueue<>(); // 우선순위 큐에 from, to까지 넣기 for (int j = commands[i][0]-1; j < commands[i][1]; j++) { pq.add(arr[j]); } // 정렬이 되었기 때문에 뽑기만 한다. for (int j = 0; j < commands[i][2]; j++) { answer[i] = pq.poll();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KthNumPriorityQueue kthNum = new KthNumPriorityQueue(); int[] arr = new int[]{1, 5, 2, 6, 3, 7, 4}; int[][] commands = new int[][]{{2, 5, 3}, {4, 4, 1}, {1, 7, 3}};.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kthNum.solution(arr, commands)));; } }
Java
복사

토비의 스프링

DataSource 인터페이스 적용 183p
deleteAll()에 익명 클래스 적용 233p
add()에 익명 클래스 적용 232p
JdbcContext 클래스로 분리 234p

Template Callback 247p

excuteSql() - Query를 받아서 PreparedStatement를 만든 후 실행하는 기능
public void executeSql(String sql) throws SQLException { this.jdbcContext.workWithStatementStrategy(new StatementStrategy() { @Override public PreparedStatement makePreparedStatement(Connection 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return connection.prepareStatement(sql); } }); } public void deleteAll() throws SQLException { this.executeSql("delete from users"); // 쿼리만 넘기게 함 }
Java
복사
public void deleteAll() throws SQLException { this.jdbcContext.executeSql("delete from users"); } //UserDao.java
Java
복사
public void executeSql(String sql) throws SQLException { this.workWithStatementStrategy(new StatementStrategy() { @Override public PreparedStatement makePreparedStatement(Connection 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return connection.prepareStatement(sql); } }); } //JdbcContext.java
Java
복사

JdbcTemplate 적용 262p

UserDao.java
deleteAll()
add()
getCount()
findByud()
getAll()구현
getAllTest() 추가
RowMapper의 중복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