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첫번째 스프린트 이후로 1달간 일어난 일에 대한 회고
이름 | 1달간 일어난 일 중에 나에게 의미 있었던 지점 2~3가지 |
도현 | 1. 스위프트, 옵젝씨 관련
2. 수업 이후의 시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지와 자기 관리에 대해 고민해보았음. 지식적인 부분에서 성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육체적, 정신적으로 뒷받쳐줘야 이러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기에 자기 관리 시간을 늘렸음.
3. 동료들과 함께 코딩을 진행하면서 내가 생각하지 못한 다양한 해결 방법을 접할 수 있었음. |
정민 | 1. 수업을 통해 스위프트 문법에 집중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음. 내용을 숙지하고 다시 코드를 보니 보이지 않던 부분들이 보이기 시작했고 스위프트 코드 스타일에 가까워질 수 있는 기본기를 다질 수 있었음.
2. Objective-C를 혐오했던 거 같은데 수업을 통해 가까워질 수 있었음. Objective-C로만 개발문서가 제공되는 API 서비스들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졌음. 조만간 톡플러스API 적용하는 부분을 정리해보고 Sendbird API와의 장단점과 특징을 정리해보고자 함. |
서현 | 1. 오브젝티브 씨를 처음으로 자세하게 배워서 오브젝티브 씨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짐
2. XCode 와 github를 사용해 팀원들과 협업을 처음 시작해보고 의견 교환 하는 방법, 협업 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음 |
태영 | 1. 수업시간 외에도 많은 분들이 디스코드에 남아서 개인 공부, 프로젝트를 하시는 것을 보고 스스로 어떻게 공부할지, 지금 내가 어떤 것을 하면 성장 부스트가 될지 고민하게 됨.
2. 다양한 분들과 소통하면서 긍정적인 영향과 도움을 서로 주고 받음 |
한호 | 1. 정확히 알고 있지 않던 스위프트 문법에 대해 자세히 공부할 수 있었다.
왜 이렇게 써야하는 지 제대로 모른 체로 코드를 작성했었는데 반성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2. Objective-C는 배우지 않아도 될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아직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음. 배울 수 있는 시간이 있어 의미 있었다.
3. 많은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고 공부하면서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시간들이 동기부여도 되고 좋은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었던 것 같다. |
주희 | 1. 수업 이외의 시간을 어떻게 학습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면서 여러 방법 시도해보기
2. 기술적인 학습도 좋지만 다양하게 협업하며 협력과 소통이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
진표 | 1. 알고리즘 스터디 활동을 통해 팀원들의 다양한 문제 해결법을 알아볼 수 있었음.
2. 스위프트뿐만 아니라 오브젝티브씨에 대해서도 배울수 있는 좋은 시간을 가질 수 있었음.
3. 수업시간 이외 배운 내용을 다시 복습하고 다른 문제에도 적용해봄으로써 당일날 배운 내용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음. |
2. 그룹별로 나눌 이야기
오늘 서로의 지식과 경험이 녹아들 수 있는 페어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야기하고 라이브까지 진행해보았는데요. 나의 학습 과정에서 프로그래밍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도 얼마든지 시도해볼 수 있고 효과도 얻을 수 있어요. 그래서 내가 페어 워크를 해보고 싶은게 있다면 어떤게 있는지 나눠보고, 실제 페어도 구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만약 빠르게 다 구해졌다면 남은 시간 동안 실제 페어 워크를 진행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
페어 워크의 예) 슬라이드 만들기, 회의 기록 남기기, 글쓰기, 코드 리뷰하기
기준: 지겹거나, 어렵거나, 막연한거 2~3개 이상 적어보고, 여러 페어와 같이 시도해보는거
너무 큰 단위 말고 같이 해서 2~3시간 안에 끝낼 수 있는거, 과제를 하는거다하면 과제의 일부 기능 하나만을 일단 페어프로그래밍 하는 식으로, 작게 쪼개서 둘이서 2~3시간안에 끝낼 수 있는 단위로 시도해보기
2~3시간 해보고 나면 우리의 페어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간단하게 회고까지 해보면 더 좋음
- 페어 프로그래밍 어땠는지
- 어떻게 하면 다음에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은지
- 우리만의 더 좋은 페어 프로그래밍 방법은 없을지
이름 | 이번주/다음주에 페어 워크/프로그래밍 시도해보고 싶은 것 | 페어 |
도현 | 1. 이번 주 실습 과제 코드 리뷰
2. Git PR, issue 작성을 위한 templete 논의 | |
정민 | 1. SwiftUI로 간단한 앱 만들어보면서 git사용해보고
UIKit과 비교했을때 체감되는 차이점 이야기해보기 | |
서현 | ||
태영 | 1. 글쓰기(회고, 회의 내용)
2. 알고리즘
3. 코드리뷰(프로젝트 코드, 수업시간에 작성된 응용 코드 등) | |
한호 | 1. 실습했던 코드 처음부터 다시 짜보기
2. 알고리즘 문제풀이 | |
주희 | 코드 리뷰 또는 프로그래밍(수업 시간에 작성한 프로그램 복습 또는 알고리즘 문제) | |
진표 | 1. SwiftUI로 학습했던 내용들을 리뷰
2. 혼자 해결할 수 없는 알고리즘 문제들을 같이 풀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