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 정보를 리덕스로 관리해서 리덕스 변경하면 자동으로 로컬스토리지도 변경되는건지
로컬 스토리지엔 로그인 정보만 / 팔로워를 저장하려면 쓰긴 할 것 같은데…
모든걸 지금 다 로컬에 넣어놔서 계정 전역관리를 다 넣었기 때문에 저걸 왜 쓰지 하고 있다?
계속 리덕스를 남겨놓는다. (언젠가는 쓸 일이 있을 듯)
로그인 단계엔 없어도 되는데 처음 로컬의 유무로 시작하기 때문에 로컬을 지워주고 시작하는게 편함
만약 로컬 스토리지를 지웠다? 그럼 다시 애매해짐
그래서 간단한 건데 props drilling을 피하고 싶다면 전역관리로 해서 쓸 수 있지 않을까
아직까진 리덕스에 대해 신경 안써도 될 듯함
리덕스를 쓰는 이유가 props drilling을 안하려고 하는거다.
수진님 팔로우정도가 setprofileinfo에 들어있음
이걸 계속 들고 다녀야하니까 리덕스에 넣고 싶음
근데 말씀하시면서 해결방법을 찾음
태수님 home 구현 관한 질문
common→ header
header가 홈페이지에 있는 헤더라는 걸
타입이랑 헨들러 함수 → 타입컴포넌트 바뀐다
서치화면으로 라우터 보냈을 때 안에 있는 로직은 내가 고쳐서 사용하기
타입이 home이 아니라면 뒤로가기버튼 →감귤마켓 나오고 이미지로 검색버튼 띄어줌
blankcomponent가 아무것도 안나오는 페이지
home에서 props에서 클릭이벤트 함수 넘주면 header에서 받음
처음 들어갔을 때 목록리스트 → 포스트 카드 나타나는데
이 하나가 component다.
전체 틀은 프로필 자체 틀
포스트 카드는 article부터 시작
home 피드에서 map 돌려서 포스트카드가 나타남
리스트형이랑 앨범형이 있음 → 리스트가 home 피드가 됨
포스트 카드 객체 키 명을 확인해서 그거를 뿌려주면 됨
공통되는 component를 설명하는 명세서 넣자
stash 사용법
1. git stash // 내가 수정한 사항 임시 저장
2. git switch develop // develop(main) 브랜치로 이동
3. git pull // 내 로컬 develop 브랜치에 github의 develop 브랜치 파일를 update(최신화)
4. git switch 자기 브랜치 // 다시 원래 작업하던 브랜치로 돌아옴
5. git merge develop // 내 브랜치와 합침 (내 브랜치의 최신화)
6. git stash pop // 임시저장한 내용을 꺼내서 최신화된 브랜치에 덮어씌움
-> 이 과정에서 conplict가 나면 해결 후 push 하면 됨
JavaScript
복사
태수님 : 홈페이지 구현과 검색창 알아볼 예정
수진님 : 프로필 부분 마무리할 예정
경린님 : 프로필 세팅/모디피케이션 마무리할 예정
지현님 : 채팅창 자스로 구현 후 리액트로 변경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