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요약
•
사용자가 어떤 동작이나 입력을 하든지 공감하는 태도로 유연하고 관대하게 대처하라.
•
인터페이스의 안정성과 접근성을 보장하되, 입력, 접근성, 성능 면에서 만반의 준비를 하자.
•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잘 예측하고 대비할수록 디자인 회복 탄력성*은 좋아진다.
•
사용자의 가변적인 입력을 수용해서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석하라.
입력의 한계를 정의하고 사용자에게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라.
회복 탄력성이란?
개요
•
인간은 기계처럼 행동하지 않는다. → 다양성, 복잡성
•
견고하고 적응력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다!
포스텔의 법칙 (견고함의 원칙)
→ 다양성과 복잡성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인간 중심 경험을 디자인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침!
•
”자신이 행하는 일은 엄격하게”
◦
인터페이스든 포괄적인 시스템이든 안정성과 접근성을 보장해야 한다.
•
“남의 것을 받아들일 때는 너그럽게”
◦
사용자의 입력은 포맷이나 입력 메커니즘을 막론하고 무조건 수용해야 한다.
기원
Who is John Postel?
사례
입력 폼
반응형 디자인
2010년 이선 마코트 씨가 직접 반응형 웹디자인이라고 명명한 새로운 접근법을 도입.
점진적 향상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고 스타일과 인터렉션을 점진적으로 쌓아가는 웹디자인 전략
디자인 작업 프로세스
•
심화학습
◦
디자인 회복 탄력성
사용자가 시스템에 입력하는 내용은 가변적이고 광범위.
->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려면 입력을 너그럽게 수용하는 시스템을 디자인 해야 함.
-> 오류가 발생할 확률, 훌륭하지 않은 사용자 경험이 만들어질 확률 있음.
디자이너가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잘 예측하고 대비할수록 디자인의 회복 탄력성은 더 좋아질것
서비스 국제화
언어가 다르면 길이도 달라짐.
어떤 나라는 왼쪽부터 글을 읽지만 어떤 나라는 오른쪽부터 읽음.
디자인할 때 이런 사항까지 고려하면 더 견고한 디자인이 완성된다.
기본 글꼴 크기
모바일 기기나 브라우저의 기본 글꼴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 가능.
이로 인해 디자인이 망가질 수 있음.
이를 대비하여 디자인 적응력을 높이면 견고한 디자인이 완성된다.
예시) 아마존
글꼴 크기 수정에 적응하는 아마존닷컴. 글꼴이 커지면 검색창 아래에 있는 퀵 링크를 중요도에 따라 정리하고 덜 중요한 링크는 감춘다.
정리
인간의 가변적인 입력을 너그럽게 수용해서 구조적이고 기계 친화적인 출력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디자인하면, 사용자의 부담이 줄고 더욱 인간적인 사용자 경험이 보장된다. 그러면 더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요구에 잘 적응하는 견고한 제품과 서비스가 완성될 것이다.
그만큼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진다는 뜻이지만, 디자이너가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잘 예측하고 대비한다면 회복 탄력성이 뛰어난 디자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