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스쿨 2기 시작에 앞서 교육 과정 주요 KPI 설정
교육 운영
•
현재 백엔드 스쿨 1기 총 정원 90명 → 이탈 16명으로 약 20% 이탈률
◦
백엔드 스쿨 2기의 경우 이탈률 10% 대 방지 (목표)
•
1차 (추가 필요)
◦
입과 2주차 설문조사 진행 예정
◦
데일리 컨디션 체크 타이폼 진행 예정
◦
입과 한달 전후로 설문조사 데이터 기반 1:1 상담 진행
•
2차(추가 필요)
◦
데일리 컨디션 체크, 설문조사, 상담 데이터를 활용한 여러 프로그램 진행
1.
난이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육생 대상
▪
학생 멘토 제도 → 기존 스터디그룹과 동일
•
교육생 중 우수교육생을 학생 멘토 지정하여 주 2회 정도의 수업의 어려움이 있는 멘토링 진행 ( 방법의 경우 a to z)
◦
혜택 : 상장, 기프티콘, 지원비 … 등등의 여러 개념 가능
▪
기초 교육 특강 ( 6주 ~ 7주차 )
•
보조강사 활용한 기초 교육 특강 진행 ( 못 따라오는 비전공자 대상으로 진행되어야 함)
•
mini test , 보조강사, 강사 , 설문조사 기반으로 한 데이터 통해 매니저들이 선별하여 리스트 up
강사
90명 교육생의 전반적인 학습 형태 파악, 수업 적응도 파악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보조강사를 활용한 플랜이 필요함.
•
why?
◦
5개월이란 시간동안 강사님의 주 강의가 기본 base 가 되어 강의를 이끌어 나가야하기에
교육생들에 대한 많은 관심도가 필요한 상황
◦
교육생들이 수업을 듣는 주 목적은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함이 첫번째이므로 강의 교육에 대한 질이 매우 중요함 → 이러한 만족도도 교육 운영 kpi 지표에 영향이 될 것으로 예상
◦
교육 내의 중요 요소
▪
실습 과정에서 내 손으로 내가 치는 코딩 → 예제, 수업시간 내 실습 시간을 최대 활용하여 코딩에 흥미를 더 이끌어낼 수 있는 active 함이 필요
▪
프로젝트 참여 → 프로젝트 어떤식으로 구상하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 필요
•
how?
◦
교안을 기본으로 하여 실제 코딩을 구현할 수 있도록 많은 예제 문제 준비
◦
실제 수업 진행 시 PPT 설명에 대한 수업 외에 실제 예제를 같이 쳐서 보여주는 실습의 형태 교육 필요
◦
수업에 대한 강사님의 교육생 난이도 파악도 중요하며 각 반을 담당하고 있는 보조강사와의 소통을 통해 교육 질 향상 필요
보조강사
•
학생 멘토링 진행 시 학생 멘토 담당하고 있는 멘토의 수업 질 체크
◦
학생 멘토링이란?
▪
교육생들 중 교육 진도에 잘 적응하는 학생들 중 지원자를 받아 멘토로서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육생 분들에게 (어떤 형태로도 상관없음) 멘토링 진행
•
그 외 부진한 학생 가이드, Q&A 답변